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이 두 달 연속 상승했다.
2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4월 말 기준 연체율은 0.57%로 전월 말(0.53%) 대비 0.04%p 상승했다. 전년 동월 말(0.48%)과 비교하면 0.09%p 상승한 수치다.
신규 연체 발생액은 소폭 감소했지만 연체채권 정리 규모가 급감하면서 전체 연체율 상승으로 이어졌다. 4월 신규 연체 발생액은 2조9000억원으로 전월(3조원)보다 1000억원 줄었으나 같은 기간 연체채권 정리 규모는 4조1000억원에서 1조7000억원으로 2조4000억원 감소했다.
신규연체율은 0.12%로 전월 및 전년 동월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부문별로는 기업대출 연체율이 0.68%로 전월(0.62%)보다 0.06%p 상승했다. 특히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83%로 한 달 만에 0.07%p 뛰었다. 중소법인의 경우 0.89%로 전월보다 0.09%p, 개인사업자는 0.74%로 0.03%p 상승했다.
대기업대출 연체율도 0.13%로 소폭 상승했다. 다만 다른 부문 대비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가계대출 부문에서는 전체 연체율이 0.43%로 0.02%p 상승했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30%, 신용대출 등 주담대 외 가계대출 연체율은 0.86%를 기록해 전월보다 각각 0.01%p, 0.07%p 상승했다.
금융감독원은 연체채권의 적극적인 정리와 부실채권 매각 확대, 충당금 적립 등을 통해 자산건전성 관리 강화에 나설 계획이다. 이와 함께 개인사업자 등 취약차주를 대상으로 선제적인 채무조정 유도에도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
- 은행권, NPL·연체율 상승에 CET1 사수…'자산 효율화' 총력
- 3월 은행대출 연체율 0.53%로 하락…연체채권 정리 영향
- 은행계열 카드사 연체율 10년 만에 최고…서민 금융부담 심화
- 내일부터 수도권 주담대 6억원 한도…정부, 초고강도 대출 규제 전면 시행
- 5대 은행 가계대출 4년 만에 최대 증가폭...정부 규제 '초강수'
- 5월 국내은행 연체율, 0.64%로 껑충
- 5대은행 가계대출, 일주일 새 2조↑…신용대출 1조 불어
- 5대 은행 가계대출 문턱 역대 최고…"중저신용자 설 곳 없다"
- 국내은행 부실채권비율 0.59%…3년 연속 상승세
- 국내은행 7월말 원화대출 연체율 0.57%…전월보다 5bp 상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