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ChatGPT.
사진= ChatGPT.

지난해 국내 IPO(기업공개) 시장은 공모금액이 전년보다 증가했으나 하반기 들어 증시 불안으로 투자 심리가 위축되며 경쟁률이 하락세를 보였다. 의무보유 확약 우선 배정이 시행됐음에도 기관투자자 확약 비중은 감소했다.

금융감독원 전경. 사진=금융감독원
금융감독원 전경. 사진=금융감독원

18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IPO 시장 동향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IPO 공모금액은 총 3조9000억원으로 전년 3조3000억원 대비 16.4% 증가했다. 하지만 기업 수는 77개사로 전년 82개사보다 줄었다.

지난해 기술특례 상장 기업은 총 41개사로 전년 33개사 대비 24.2% 증가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코스닥 상장 기업 중 58.6%를 차지하는 수치다.

업종별로는 바이오(10개사), 과학기술 관련 제조업(9개사), R&D(7개사) 순으로 드러났다. 바이오 중심에서 로봇·항공·우주 등 비(非)바이오 산업으로 확대되는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상반기에는 기관투자자 수요예측 참여 기업 수가 1871개사로 전년 1507개사 24.2% 대비 증가했다. 상반기 수요예측 경쟁률은 871대1을 기록했다. 반면 하반기 들어 시장 변동성이 커지면서 수요예측 경쟁률은 775대1로 하락했다. 전년 대비 16.2% 감소한 수치다.

일반 투자자의 청약 경쟁률 역시 상반기 1624대1에서 하반기 650대1로 급감하며 투자 심리가 크게 위축된 것으로 분석됐다. 전체 청약 경쟁률은 1016대1로 전년 대비 8.8% 상승했다.

상반기 IPO 공모가는 희망 밴드 상단을 초과해 확정된 비율이 93%에 달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하반기 들어 분위기가 급변하면서 50%로 감소했고, 오히려 공모가가 밴드 하단 이하에서 확정된 비율이 25%까지 증가했다.

기관투자자 배정 물량 중 의무보유 확약은 18.1%로 의무보유 확약 우선 배정 시행에도 전년 대비 8.3%p 감소했다. 코스피 시장 의무보유 확약 비율은 전년 대비 24.8%p 증가했으나 코스닥 시장은 11.2%p 하락하며 5년 내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확약 건 중 기간은 3개월이 45.8%, 6개월 33.7%, 1개월9.5%, 15일 9.7%로 드러났다. 6개월 확약 비중이 15.7%p 증가했다.

금융감독원은 "올해 초 발표한 'IPO 제도 개선방안'이 원활히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IPO 시장의 공정성과 투자자 보호를 강화할 계획"이라며 "주관사와 간담회를 통해 IPO 심사 과정에서 확인된 특이사항을 공유하고 업계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등 소통 강화 예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