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유산청은 조선 후기 자연경관과 조화된 누정 건축 특징을 잘 보여주는 경상북도 포항 지방의 '포항 용계정(浦項 龍溪亭)'과 '포항 분옥정(浦項 噴玉亭)'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예고했다.
포항 용계정은 1696년 조성됐으며, 경관을 조망할 수 있도록 조성된 2층의 누마루를 가진 정면 5칸, 측면 2칸의 '一'자형 팔작지붕 건축물이다. 창건 당시는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여강 이 씨 후손들의 수양 공간으로 활용됐으며, 1778년 정면 5칸으로 증축, 1779년 용계정 뒤편에 서원의 사당인 세덕사를 건립해 새 현판을 달았다.
이후 1871년 서원 철폐령 당시 훼철을 막고자 주변에 담장을 쌓고 다시 옛 현판을 달아 화를 면했으며, 이후 여강 이 씨의 문중 회의 및 행사 장소로 활용되며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용계정이 위치한 덕동마을은 여강 이 씨 향단파 집성촌이며, 문중과 관련된 문화유산이 함께 형성돼 있다. 특히 덕동숲은 용계정과 함께 어우러지는 가치를 인정받아 지난 2011년 국가지정자연유산인 명승 '포항 용계정과 덕동숲'으로 지정된 바 있다.
함께 지정된 '포항 분옥정'은 1820년 건립된 창건 기록이 명확하고 정면에는 용계천 계곡과 노거수가 위치해 있는 등 산천이 어우러진 뛰어난 자연경관을 자랑한다. 이와 함께 추사 김정희 등 이름난 명사들이 남긴 현판이나 편액, 시판과 '화수정기(花樹亭記)', '돈옹정기(遯翁亭記)' 등 과거 문헌에도 기록이 남아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높다.
분옥정은 정면 3칸의 누마루와 그 뒷면에 2칸의 온돌방을 이어 배치한 '丁'자 평면 형태로 조성됐다. 일반적으로 생활공간을 위쪽에 배치하고 아랫부분에 큰 마루를 두는 '丁'자형 정자와 달리 분옥정은 정면 계곡을 잘 조망할 수 있도록 윗부분에 누마루를, 아랫부분에 온돌방을 배치했다.
지붕도 진입부의 위계를 고려해, 온돌방은 팔작지붕, 누마루는 맞배지붕으로 조성하면서도 각 지붕의 용마루와 처마의 높이를 같게 맞춰 경관적 가치를 뒷받침했다.
- 헝가리에서 한류를, 10월 '2024 모꼬지 대한민국' 개최
- 국가유산청, 전북 무주 자연유산·자연사자원 조사 성과 특별전시 첫 개최
- 국가유산청, 창경궁 야연 행사 개최
- 국가유산청, 무형유산 전승자·현대미술 결합 전시 개최
- 국가유산청, 조선왕릉 여행프로그램 '왕릉천(千)행' 하반기 참여 접수
- 국가유산청, 전승위기 종목 활성화 특별전시 2곳서 개최
- 국가유산청, 궁궐 대표 문화행사 '달빛야행'·'별빛야행' 참여자 모집
- 강릉문화유산야행 총 14만8천명 방문…'역대 최고'
- 국가유산청, 9월 국가무형유산 공개·기획행사 56건 개최
- 국가유산청, 국내 유일 국가유산박람회 '2024 세계국가유산산업전' 개최
- 국가무형유산 '소반장' 보유자 추용호 씨 별세
- 국가유산청, 첨단기술과 국가유산 결합한 전시 경주서 개최
- 국가유산청, 프랑스 파리서 국가무형유산 공예품 선보인다
- 국가유산청, 시각장애인용 해설 서비스 '종묘' 추가 운영
- 국가유산청, 9월 가을맞이 조선왕릉 곳곳서 행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