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이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판매사 대상 2차 현장검사에 나선다. 당국은 이달 말까지 판매사 책임분담 기준안을 정리할 예정이다. 아울러 판매 규제 관련 제도 개선안도 빠른 시일 중 발표할 방침이다.
13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오는 16일 홍콩H지수 ELS 주요 판매사 11곳에 2차 현장검사를 진행한다.
2차 현장검사에서는 지난 1차 현장검사에서 파악한 불완전 판매 사례와 유형을 점검하고 추가 문제점을 살핀다.
금감원은 지난달 첫 현장검사에서 고령 고갱 노후 자금, 암보험금 등을 ELS에 투자하라고 권유하거나 증권사 창구에서 녹취 의무를 피하고자 온라인 판매로 위장하는 경우 등 여러 사례를 적발했다.
금감원은 검사를 마치고 이달 말까지 책임분담 기준안을 마련한다. 현재 금감원은 상품 설명 적합성, 투자자 과거 투자 경험, 가입 채널 등을 기준으로 분류 작업을 진행 중이다.
또한 은행 창구에서 고위험 상품 판매 가능 여부를 전면 재검토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ELS를 비롯한 고위험 상품 판매 규제를 원점에서 살핀다.
당국은 소비자 선택권을 위해 일괄 판매 제한보다는 여러 사례를 고려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KB국민, 신한, 하나, NH농협은행 중 여러 은행에서 ELS 상품 판매를 중단했다.
관련기사
- 이복현 "금융기관, 책임 회피 시 시장 퇴출 불사"
- 이복현 "홍콩 ELS, 불완전 판매 확인"
- 우리은행 "ELS 판매 지속…고객 선택권 보호“
- 농협·하나 이어 국민·신한도 ELS 판매 중단
- 이복현 "홍콩 ELS, 금소법 점검 기회 될 것"
- 금감원 "매매 하락하면 전세금보장보험 가입 거절 가능"
- 홍콩H지수 ELS 피해자, 금융당국 공익 검사 청구
- 'IPO 800% 수익…금감원 "투자사기 척결한다"
- 금감원, 전자공시 영문서비스 확대…"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 이복현 "홍콩ELS, 차등 배상할 것…11일 발표"
- "1월 외식은 뷔페가 최고"…핀다, 외식업 상권 기상도 공개
- 홍콩 ELS 배상, 0~100% 가능…DLF보다 낮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