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왼쪽 세번째)가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했다. 사진=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왼쪽 세번째)가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했다. 사진=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판매를 계기로 금융소비자보호법이 잘 시행되고 있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29일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한 이복현 원장은 홍콩H지수 ELS 대규모 손실을 두고 "2019년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이후 영업 규준, 모범규준 운영해 왔는데 이번 검사에서 제대로 지켜졌는지와 상품의 유형별 구분, 그 유형에 따라 적절하게 판매경로가 있었는지 점검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전체회의에 참석한 양정숙 무소속 의원은 "ELS 구조가 아주 복잡하게 돼 있다"며 "금융공학 박사, 수학자가 설계한 상품으로 설계자 밖에 모르는데 판매한 은행 직원도 제대로 알고 판매할 것 같지 않다"고 꼬집었다. 투자자가 어떤 상품인지 알기 어려웠다는 지적이다.

이에 이 원장은 "저는 조금 공부를 하고 있어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지만 파생상품 구조라 어느 정도 지식이 있는 분이 아니라면 설명을 상당히 들어야 이해가 가능한 구조인 건 맞다"고 인정했다.

다만 원금이 보장되는 예적금 상품을 주로 판매하는 은행이 파생상품을 가입하도록 한 게 문제가 아니냐는 지적에는 "작년부터 모니터링을 해 왔고 최근 이미 본점의 판매 정책에 대해 봤다"며 "영업점 판매 경과는 검사가 진행 중으로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 원장은 최근 12개 판매사 현장 검사를 두고 "절차적으로 검사가 끝나고 합당한 기준에 따라 정리를 해야 최종적으로 위법인지 아닌지 말씀드릴 수 있다. 국민들 보시기에 여러 문제 제기가 있다는 거에 대해 인식하고 있고 강한 강도로 검사하고 있다"며 "검사 이후 재발 제도에 대한 고민이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