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은행권에 이어 보험업계에 상생금융을 주문했다.
16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이복현 금감원장은 전날 포시즌스호텔서울에서 열린 '보험회사 최고경영자(CEO) 세미나' 축사에서 보험사에 당부사항을 전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생명보험과 손해보험 등 보험사 CEO 40여명과 협회장, 보험개발원장, 보험연구원장 등이 참석했다.
이 원장은 "보험은 신뢰와 상부상조 정신에 근간을 두고 있기에 장기고객이자 계약 상대방이 되는 국민과의 발전적 관계 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고금리·고물가 상황에서 가중되고 있는 서민들의 어려움에 대한 보험업권의 관심과 배려도 중요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만약 국민경제가 어려움을 겪는 지금과 같은 시기에 보험회사들이 서민들의 짐을 나눠 지게 된다면 보험산업에 대한 국민적 신뢰는 더욱 두터워지고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 또한 공고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보험산업이 어려운 시기에 장기 자금공급자로서 국가경제에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지속해준다면 다시금 국가경제와 함께 성장하며 더 큰 과실을 누리게 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 원장은 "기존에 안전자산으로 인식되던 장기채권에 주로 투자했던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은 저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면서 "위험에 대한 철저한 대비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고객과의 장기 계약을 책임지는 보험회사들은 현상황에서 큰 위협으로 느껴지지 않는 위험요인까지도 철저히 대비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혁신을 위한 노력도 강조했다.
이 원장은 "보험사들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새로운 상품을 개발하고 고객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모든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보험사의 성공 조건은 영업조직의 크기가 아닌 혁신을 통해 좋은 가치를 제공하는 것이 될 것이다. 이에 실패한다면 한순간에 도태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금감원, 파두 IPO 주관사 NH·한국투자 점검한다
- 금감원, 지속된 금융사고에 여전업권 내부통제 개선안 마련한다
- 미뤘던 증권사 CEO 제재…금융위, 칼 뽑는다
- 새마을금고 혁신안, 내부통제 잡힐까…감독권한 행안부 '계속'
- 금융당국, 은행에 횡재세 대신 '실질적 지원' 강조
- 금융당국 은행에 "국민 상생"…실효성은 물음표
- 금감원 "변액보험, 원금손실 발생할 수 있어"
- 금감원 "준법감시 강화해야"…보험사 금융사고 대책 마련한다
- 이복현, 자산운용사 CEO 만나…"리스크 관리 강화" 당부
- 김주현 금융위원장 "보험사 계약자 위한 배려 필요"
- [기자수첩] 보험업계에도 부는 관치금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