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소재의 ‘칠곡 매원마을’이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된다.
안동 하회마을, 경주 양동마을과 함께 조선시대 영남 3대 양반촌으로 꼽혔던 ‘칠곡 매원마을’은 17세기 광주이씨(廣州李氏) 석담 이윤우(1569~1634)가 아들 이도장(1603~1644)을 데리고 함께 이거한 후, 이도장의 차남 이원록(1629~1688)이 뿌리를 내려 그 후손들이 지금까지 살고 있는 영남지방의 대표적인 동족(同族)마을 중 한 곳이다.
마을은 주변 자연 지세에 순응하여 기본적으로 동·서 방향을 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가운데 ‘중매’를 중심으로 동쪽의 ‘상매’와 서쪽의 ‘하매’로 영역이 구분되는데, 이는 동족 구성원들이 분파되어 나아가는 시간적·공간적 특성을 잘 보여준다.
마을 곳곳에는 다양한 민속적 요소들이 자리 잡고 있는데 이 중에서도 ‘소나무 밭(동솔밭)’은 마을 서쪽 경계(풍수지리상 우백호에 해당)의 지형을 보강하기 위한 비보수로, 풍수지리적으로 이상적인 주거지를 만들기 위한 전통적 노력을 엿볼 수 있다. 또한 오늘날에도 동제(마을을 지켜주는 신에게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를 통해서 마을의 전통을 계승해 오는 등 지난 400여년간 보존되어온 역사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칠곡 매원마을’ 내 여러 곳에는 재실이 세워졌으나 근대기와 한국전쟁 등을 거치면서 다시 실용적인 주거 공간으로 용도가 바뀌는 등 유교적 질서체계가 시대적 상황에 순응하며 변모해 가는 양상을 들여다 볼 수 있다.
문화재청은 “근·현대기를 지나오면서 이뤄진 마을 영역의 확장 및 생활방식 등의 변화 속에서 다른 영남지방의 동족마을과 구별되는 시대적 특징을 잘 보여주며, 가옥 및 재실, 서당 등을 비롯해 마을옛길, 문중 소유의 문전옥답, 옛터 등 역사성과 시대성을 갖춘 다양한 민속적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국가등록문화재로서의 등록 가치가 충분하다”라고 말했다.
‘칠곡 매원마을’은 30일간의 예고기간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통해 최종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될 예정이다.
- “국보 동궐도 속 창덕궁 나무 보러 오세요”
- 신라 고분 발굴 100년의 역사…‘대담신라’ 19일 개최
- 현존 최고 금속활자 ‘직지’, 반세기 만에 실물 공개
- 동학농민군 활동 담긴 ‘갑오군정실기’ 문화재 된다
- 문화재청, 키르기즈공화국과 문화유산 교류 협력키로
- 옻나무는 어떻게 나전칠기에 쓰이는 공예재료가 되었나
- 복숭아꽃에 담긴 정조의 효심…창경궁 어버이날 행사
- 청와대 개방 1주년…문체부 “관광 랜드마크로 조성”
- 국립대구박물관, 11일부터 ‘이건희 컬렉션’ 특별전
- “창경궁 숲의 경제적 가치, 2억4800만원”
- ‘궁패스’로 5대궁 무제한 관람…‘궁중문화축전’ 29일 개막
- 조선 세자빈의 첫 인사 ‘묘현례’, 창작극으로 만난다
- 세계유산 조선왕릉으로 여행 떠나요
- "일제 훼손 ‘광화문 월대’, 복원 위한 자료 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