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여의도 일대. 사진=문제민 기자
서울여의도 일대. 사진=문제민 기자

서민들은 경기 불황으로 허리띠를 졸라매는데 보험사와 카드사들은 성과급 돈잔치를 하고 있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가 지난달 31일 연봉 47%의 역대 최대 성과급을 지급했다. 삼성생명은 연봉의 23%를, 삼성카드는 연봉의 50% 가까이 되는 성과급을 각각 지급했다.

KB손해보험의 경우 월 상여금 기준 550%를 성과급으로 책정했고 DB손해보험은 연봉의 41%를 성과급으로 지급했다.

아직 성과급이 정확히 책정되지 않은 현대해상과 메리츠화재도 실적이 좋아 각각 30%와 40% 내외의 성과급이 지급될 예정이다.

지난해 역대급 성과급을 지급했던 카드사들의 경우에도 삼성카드, 신한카드, 롯데카드 등이 지난해보다 많은 성과급을 지급할 것으로 전망된다.

성과급 잔치가 벌어진 이유는 경기 침체 속에도 역대급 실적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보험사들은 지난해 총 8조원이 넘는 순이익을 거둔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1~3분기 전체 생명보험사의 순이익은 2조9437억원, 손해보험사는 4조8174억원을 기록했다. 

이 기간 교보생명은 3947억원, 신한라이프 3679억원, 삼성생명이 2106억원의 순이익을 거뒀고 손보사들 중 삼성화재는 1조325억원, DB손해보험 8170억원, 메리츠화재는 7209억원의 순이익을 챙겼다.

카드사들도 같은 기간 2조2787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해 지난해 3조원이 넘는 사상 최대의 순익을 거뒀을 것으로 추산된다.

역대급 실적을 기록하긴 했지만 서민 경제난이 가중된 상황에서 고액의 성과급 잔치를 벌이는 것에 곱지않은 시선이 쏟아지고 있다.

보험사들이 대출 심사와 중도 상환 수수료, 연체 이자가 없는 약관 대출을 줄이고, 카드사들도 이용 한도 등 고객 서비스를 대부분 줄여 평균 신용대출 금리를 10% 중후반대까지 인상하는 등 금융소비자들의 어려움을 외면하면서 그들만의 잔치를 벌이고 있다는 비난이다.

여기에 최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과도한 임직원 성과급 지급에 대해 신중할 것을 주문한 바 있어 이를 무시한 성과급 잔치에 대한 비판은 더 거세지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경기불황에 서민들의 생활이 팍팍해지고 있는데 은행 못지않게 보험사와 카드사들이 성과급 잔치를 벌이는 것에 금융당국의 적절한 지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