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가 중국 문화여유부와 함께 28일 오후 7시, ‘2021~2022 한중 문화교류의 해’ 폐막식을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한중 문화교류의 해’ 공식 유튜브와 네이버TV, 문화여유부 및 중국 중앙민족악단 온라인채널에서 볼 수 있다.
한국과 중국은 수교 30주년(2022년 8월24일)을 기념하고 문화교류와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지난해에 ‘2021~2022 한중 문화교류의 해’를 선포하고, 다양한 문화 예술 분야에서 흥미롭고 뜻깊은 행사를 함께 진행했다.
이번 폐막식에서는 한국 대표 문체부 박보균 장관과 중국 주재 정재호 한국대사, 중국 대표 문화여유부 후허핑 부장 등이 ‘2021~2022 한중 문화교류의 해’의 성공적인 마무리를 영상으로 축하하고 지난 2년 동안의 문화교류 성과를 소개한다.
한국과 중국은 지난해 9월15일, 서울에서 ‘2021~2022 한중 문화교류의 해’ 개막식을 개최한 이후 ‘문화로 나눈 우정, 미래를 여는 동행’을 주제로 다채로운 문화행사를 펼쳐왔다.
수교 30주년인 올해 8월24일에는 문체부와 문화여유부가 공동으로 온라인 음악회를 열어 한국의 수제천, 중국의 민요 관현악 등 양국의 대표적인 전통음악을 소개했다. 10월에는 한국 국립극장에서 양국 청년 예술가들이 창작연극 '달뜬 밤, 한길로'를 무대에 올려 예술적 영감을 나누었고, 11월에는 예술의전당에서 피아노 연주자 선우예권과 랑랑이 음악으로 하나 되는 환상적인 클래식 무대를 연출했다.
코로나19 상황임을 고려해 온라인 교류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한중 문화랜선투어’를 통해 양국의 매력적인 지역문화를 소개하고, ‘현대미술 작가 온라인 교류전’을 개최해 양국 예술인들이 서로 마음을 활짝 열고 신뢰를 돈독히 하는 시간을 보냈다.
이번 폐막식에서는 양국의 멋진 축하공연도 볼 수 있다. 한국은 전통춤의 멋을 현대적 감각으로 보여주는 국립무용단의 '묵향'과 국립국악관현악단과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개·폐막식 음악감독 양방언이 호흡을 맞춘 '인투 더 라이트(Into The Light)'를 선보인다. 선우예권과 랑랑은 브람스 자장가와 헝가리 무곡 제5번을 함께 연주해 다시 한번 양국 우정과 화합의 무대를 선사한다.
박보균 장관은 “‘2021~2022 한중 문화교류의 해’는 양국 간 문화 예술 관계를 확장한 ‘문화 대교(大橋)’를 만든 뜻깊은 기간이었다”라며, “앞으로도 이번에 완공시킨 문화 대교를 기반으로 양 국민, 특히 두 나라 젊은 세대들이 상대방 나라의 문화에 대한 호기심과 상상력을 생산하고 나눌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 한국-태국, ‘2023~2024 상호방문의 해’ MOU 체결
- '수교 30년' 한·중, 1.5트랙 대화로 교류 강화 모색
- "문화예술교육, 유아・아동기에 참여 집중"
- 문체부, 4일 ‘2023 신년음악회’ 개최…조수미·윤형주 출연
- 국내 미술시장 규모 1조원 돌파…아트페어·화랑 매출 ↑
- 연극 '살고지고', 9~15일 앙코르 공연
- 세종국악심포니 "협연자를 찾습니다"…연주자 발굴 프로젝트
- ‘늘푸른연극제’, 연극 ‘겨울 배롱나무꽃 피는 날’ 13일 개막
- 인문주의 관점으로 본 셰익스피어…연극 '베니스의 상인', 앙코르 공연
- 이탈리아로 떠나는 음악 여행…해운대문화회관, ‘오페라떼’ 개최
- 정경화·에센바흐·김봄소리…예술의전당, 전관 개관 30주년 음악회
- 지역문화 전문인력 양성기관 7곳 지정…3년간 900명 양성
- 예술의전당-서울문화재단, 문화예술 교류 위한 MOU
- 음악극부터 서커스까지…예술의전당, 어린이 가족 페스티벌
- 예술의전당 오페라 ‘투란도트’, 4년 만의 귀환
- 예술의전당 ‘어린이 가족 페스티벌’ 22일 개막
- 여름밤 야외서 즐기는 공연 실황 …국립극장 ‘달빛 상영회’
- 국립극장, 무장애 음악극 ‘합체’ 9월 개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