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헌 한국은행 부총재가 “물가상승률이 기대인플레이션 불안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선제적 통화정책 운용으로 물가 상승세를 둔화시켜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금리 인상 기조가 두드러지는 만큼 국내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필요성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23일 이 부총재는 21세기 금융비전포럼 주최 조찬 세미나에서 ‘최근 통화정책 운영여건 변화와 한국은행의 역할’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이 부총재는 강연을 통해 “코로나19 발생 이후 주요국 확장적 정책대응과 빠른 경기회복, 글로벌 공급제약 등이 중첩되면서 글로벌 물가 오름세가 크게 확대되는 등 중앙은행의 정책여건에 큰 변화가 발생했다”고 짚었다.
이어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등으로 글로벌 공급제약이 이어지는 데다 코로나19 진정에 따른 소비 회복으로 물가상승압력이 높은 수준을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물가 불안에는 수요 및 공급 요인이 혼재돼 있으며 물가 오름세가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는 점에서 기대인플레이션 확산을 매개로 장기화될 위험이 내재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 부총재는 “ 연준을 비롯한 주요국 중앙은행은 기대인플레이션을 안정시키고 물가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그간의 금융완화기조를 빠르게 축소하고 있다”고 밝혔다.
파월 연준 의장은 현지시간 22일 “인플레이션을 잡을 것이라고 약속한다”며 “물가상승률을 2%대로 낮추는 데에 정책수단을 사용하겠다”며 기준금리 추가인상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아울러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한 번에 금리 0.75%를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한 만큼 미국 기준금리가 한국 기준금리를 따라잡은 만큼 이 부총재의 발언은 조속한 금리인상에 대한 시그널로 풀이된다.
이 부총재는 “물가안정에 대한 책무를 부여받은 한국은행으로서는 높아진 물가상승률이 기대인플레이션 불안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선제적인 통화정책 운용을 통해 물가 상승세를 둔화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고물가 잡기 위한 ‘거인의 발자국’…美 연준 28년만에 0.75% 금리인상
- 코픽스금리 2% 턱밑까지…5월 신규취급액 기준 1.98%
- 고물가에 시름하는 글로벌…통화정책 긴축으로 선회 확산
- 이창용 “연말 기준금리 2.5% 예상 합리적”… 성장보다 물가에 무게
- 기준금리 또 올랐다…1.5%에서 1.75%로
- [Daily Pick 금융] 신한카드, KB국민카드, 현대카드, 삼성화재, 롯데손해보험 外
- 13년 만에 원·달러 환율 1300원 진입…고물가 다음 고환율 고민 깊다
- 하나은행 “경영관리, 이제 인공지능에게 맡기세요”
- 혁신 창업기업 81곳, 기업은행에서 날개 달았다
- 코스피, 2300선도 위협…1%대 하락 마감
- 한은, 빅스텝 단행해도 韓·美 금리역전 가능성 '여전'
- 한국은행, 빅스텝 뒤에도 추가 인상 예고…연말 기준금리 3% 도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