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헌 한국은행 부총재가 “물가상승률이 기대인플레이션 불안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선제적 통화정책 운용으로 물가 상승세를 둔화시켜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금리 인상 기조가 두드러지는 만큼 국내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필요성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23일 이 부총재는 21세기 금융비전포럼 주최 조찬 세미나에서 ‘최근 통화정책 운영여건 변화와 한국은행의 역할’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이 부총재는 강연을 통해 “코로나19 발생 이후 주요국 확장적 정책대응과 빠른 경기회복, 글로벌 공급제약 등이 중첩되면서 글로벌 물가 오름세가 크게 확대되는 등 중앙은행의 정책여건에 큰 변화가 발생했다”고 짚었다.

이어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등으로 글로벌 공급제약이 이어지는 데다 코로나19 진정에 따른 소비 회복으로 물가상승압력이 높은 수준을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물가 불안에는 수요 및 공급 요인이 혼재돼 있으며 물가 오름세가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는 점에서 기대인플레이션 확산을 매개로 장기화될 위험이 내재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 부총재는 “ 연준을 비롯한 주요국 중앙은행은 기대인플레이션을 안정시키고 물가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그간의 금융완화기조를 빠르게 축소하고 있다”고 밝혔다.

파월 연준 의장은 현지시간 22일 “인플레이션을 잡을 것이라고 약속한다”며 “물가상승률을 2%대로 낮추는 데에 정책수단을 사용하겠다”며 기준금리 추가인상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아울러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한 번에 금리 0.75%를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한 만큼 미국 기준금리가 한국 기준금리를 따라잡은 만큼 이 부총재의 발언은 조속한 금리인상에 대한 시그널로 풀이된다.

이 부총재는 “물가안정에 대한 책무를 부여받은 한국은행으로서는 높아진 물가상승률이 기대인플레이션 불안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선제적인 통화정책 운용을 통해 물가 상승세를 둔화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