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기준금리 인상에 대해 “현재까지 성장보다 물가가 부정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보인다”며 선제적 대응 필요성을 강조했다.
26일 이 총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 이후 기자간담회에서 수출둔화 등 경제회복세가 더뎌지고 있음에도 물가 위험이 더 크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총재는 “해 성장률은 2.7%, 내년 성장률은 2.4%일 것으로 본다”며 “이는 잠재성장률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현 상황에서는 물가 위험이 더 크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연말 기준금리에 대한 시장 전망치가 2%에서 2.25~2.5%로 올랐는데 이러한 현상이 합리적이냐는 질문에 대해 “물가가 예상보다 많이 올랐기 때문에 시장이 기대하는 금리 수준이 오른 것은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다만 7월, 8월 연속 금리 인상에 대해서는 조심스러운 입장을 밝혔다.
이 총재는 “‘당분간 물가에 중점을 두고 통화정책을 운용하겠다’고 했는데 ‘당분간’을 수개월로 해석하는 건 의도와 부합한다”면서도 “지금 물가상승률이 높은 건 확실하지만 7월, 8월 금리 운용 방향은 앞으로 나오는 데이터를 보고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 올리는 빅스텝에 대해서는 큰 의미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 총재는 지난 16일 추경호 경제부총리와 만난 자리에서 “빅스텝을 배제할 단계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빅스텝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냐는 질문에 “빅스텝을 언급한 건 대내외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통화정책 운용 때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겠다는 원론적 의미”라며 “특정 시점에 빅스텝을 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되지 않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양적 긴축을 앞두고 외화 건전성에 대한 질문에는 “금리가 더 오를 경우 외국 자본 유출 우려가 있지만 외국인투자자의 국내 주식투자 비중이 26% 정도로 2년 전보다 낮아졌다”며 “유심히 관찰할 필요는 있으나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금리 인상이 두 달 연속 이어진 만큼 취약계층에 부가될 이자 부담에 대해서는 “정부의 여러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이 총재에 따르면 한은은 금리가 0.25% 오를 때 가계부담은 3조원, 기업부담은 2조7000억원 늘어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물가상승률은 내년까지 상당 기간 4%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총재는 “한은의 기본 가정은 유가가 연말 들어 점차 떨어지고 우크라이나 사태 등 공급망 교란 요인이 정상화된다는 것”이라고 운을 뗐다.
이어 “이런 가정하에 물가를 예측해보면 앞으로 수개월은 5%가 넘는 물가 상승률이 나올 것으로 확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런 추세를 보면 물가의 정점이 상반기가 아닌, 중반기 이후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특히 국제 곡물 가격 오름세가 유지되면 내년에도 물가 상승률이 상당 기간 4%대를 유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 기준금리 또 올랐다…1.5%에서 1.75%로
- 한은 이창용 총재 “빅스텝 배제할 단계 아냐”…금리 인상 속도 붙나
- 미국, 기준금리 0.5% 올려…금리 역전 가능성↑
- 한국은행 이창용 총재 후보자 “성장에 문제없는 이상 금리 인상 이어갈 것”
- 한은, 총재 공석에도 기준금리 0.25% 상승…금리인상 속도 내나
- 코스피,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에 하락 마감
- [6·1 지방선거] '오토바이에 자전거까지… 이색활약에 눈길'
- 가계대출, 제로금리에서 9개월만에 고금리로 급변
- [건강칼럼] 쌍꺼풀수술 넘어 개성 극대화한 눈성형 트렌드 확대
- [Daily Pick 금융] 신한카드, 현대캐피탈, KB국민카드, 하나카드 外
- 신보, P-CBO 발행 통해 코로나19 피해기업 1조원 지원
- 코스피, 外人·기관 매수 힘입어 상승…2638.05p 마감
- 고물가에 시름하는 글로벌…통화정책 긴축으로 선회 확산
- 한은 이창용 총재 “물가 중심 통화정책 운용 바람직”
- 한은 이승헌 부총재 “물가불안 심리 억제해야”…7월 빅스텝 밟을까
- 한은, 빅스텝 단행해도 韓·美 금리역전 가능성 '여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