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기준금리 인상에 대해 “현재까지 성장보다 물가가 부정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보인다”며 선제적 대응 필요성을 강조했다.

26일 이 총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 이후 기자간담회에서 수출둔화 등 경제회복세가 더뎌지고 있음에도 물가 위험이 더 크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총재는 “해 성장률은 2.7%, 내년 성장률은 2.4%일 것으로 본다”며 “이는 잠재성장률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현 상황에서는 물가 위험이 더 크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연말 기준금리에 대한 시장 전망치가 2%에서 2.25~2.5%로 올랐는데 이러한 현상이 합리적이냐는 질문에 대해 “물가가 예상보다 많이 올랐기 때문에 시장이 기대하는 금리 수준이 오른 것은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다만 7월, 8월 연속 금리 인상에 대해서는 조심스러운 입장을 밝혔다.

이 총재는 “‘당분간 물가에 중점을 두고 통화정책을 운용하겠다’고 했는데 ‘당분간’을 수개월로 해석하는 건 의도와 부합한다”면서도 “지금 물가상승률이 높은 건 확실하지만 7월, 8월 금리 운용 방향은 앞으로 나오는 데이터를 보고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 올리는 빅스텝에 대해서는 큰 의미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 총재는 지난 16일 추경호 경제부총리와 만난 자리에서 “빅스텝을 배제할 단계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빅스텝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냐는 질문에 “빅스텝을 언급한 건 대내외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통화정책 운용 때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겠다는 원론적 의미”라며 “특정 시점에 빅스텝을 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되지 않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양적 긴축을 앞두고 외화 건전성에 대한 질문에는 “금리가 더 오를 경우 외국 자본 유출 우려가 있지만 외국인투자자의 국내 주식투자 비중이 26% 정도로 2년 전보다 낮아졌다”며 “유심히 관찰할 필요는 있으나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금리 인상이 두 달 연속 이어진 만큼 취약계층에 부가될 이자 부담에 대해서는 “정부의 여러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이 총재에 따르면 한은은 금리가 0.25% 오를 때 가계부담은 3조원, 기업부담은 2조7000억원 늘어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물가상승률은 내년까지 상당 기간 4%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총재는 “한은의 기본 가정은 유가가 연말 들어 점차 떨어지고 우크라이나 사태 등 공급망 교란 요인이 정상화된다는 것”이라고 운을 뗐다.

이어 “이런 가정하에 물가를 예측해보면 앞으로 수개월은 5%가 넘는 물가 상승률이 나올 것으로 확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런 추세를 보면 물가의 정점이 상반기가 아닌, 중반기 이후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특히 국제 곡물 가격 오름세가 유지되면 내년에도 물가 상승률이 상당 기간 4%대를 유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