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계와 경영계가 임금협상을 진행 중인 가운데 은행권도 이달 중순부터 협상에 나선다.

6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와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하 금융노조)는 오는 19일 상견례를 갖고 본격적인 임금협상에 돌입한다.

올해 금융노조는 임금 인상률로 6,1%를 제시했다. 임금 인상안은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을 기반으로 제안하는데 현재 물가상승률이 3%를 넘어서면서 인상안도 덩달아 오르게 됐다.

지난해의 경우 금융노조가 4% 인상을 제안했지만 2.4% 인상에서 합의한 바 있다.

이와 함께 금융노조는 저임금직군의 경우 12.2% 인상을 제시해 직원 간 임금격차를 해소하겠단 방안이다.

올해는 임금 인상 외에도 단체협약도 예고돼 있다. 은행권 노사는 2년마다 단체협약을 체결해 왔다.

단협 시기마다 은행권 주요 이슈가 수면 위로 떠 올라 치열한 논쟁이 펼쳐지곤 했다. 올해는 정년연장, 임금피크 개선, 주 4일제, 노조의 경영참여 및 자율교섭 보장 등 7개 부문 34개 항목이 안건으로 올라왔다.

사측에서도 직무급제 도입, 은행 영업시간 연장 등 은행 산업의 체질 변화를 요구할 것으로 전해지고 있어 노사 간 격돌이 예상된다.

직무급제는 기존 호봉제 대신 업무의 성격 등에 따라 급여를 다르게 지급하는 임금 체계를 말한다. 현 정부에서도 주요 공약으로 내걸었지만 노동계의 반발로 일부 공기업까지만 적용하고 민간기업까지 확대하진 못했다.

그러나 정권 교체로 다시금 경영진 쪽에서 직무급제 카드를 꺼낼 가능성은 높아졌다. 특히 인터넷전문은행과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갈수록 높아지는 인건비는 부담이란 이야기다.

영업시간 연장 역시 경영진이 원하는 카드다. 이미 국민은행의 일부 영업점에선 오후 6시까지 문을 열고 있어 모든 은행 지점이 동일한 영업시간을 지킬 필요성은 사라지고 있다.

특히 은행 영업시간이 연장될 경우 직장인의 방문 가능성이 높아져 인터넷은행과 다른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는 노사 모두 양보할 수 없는 입장이기 때문에 쉽게 임단협을 타협하긴 힘들어 보인다”라며 “특히 정권 교체로 인해 노조의 목소리보다 정부의 입김이 먼저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 금융노조도 예년보다 빠르게 협상에 돌입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