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스저널리즘
사진=뉴스저널리즘

은행권 임금단체협상이 결국 결렬됐다.

6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산업사용자협의와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는 밤샘 마라톤협상 끝에 결렬을 선언했다.

이번 협상 테이블은 4번째 만남이었다. 5일 오후 6시에 시작된 협상은 새벽 1시30분까지 진행됐지만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금융노조는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 3%, 물가상승률 전망치 3.1%를 감안해 총 6.1%를 요구했다.

예년과 다르게 인상 요구안이 높았지만, 노조 측은 IT 산업군의 임금인상으로 인해 주요 핵심 인력 이탈 방지를 위해 큰 폭의 임금인상이 필요하단 입장이다.

반면 시중은행 경영진은 0.9% 인상을 역제안하며 배수진을 쳤다. 노조 주장에 공감하면서도 최근 정부의 기조에 신경을 쓴 모양새다.

실제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한국경영자총협회에서 “일부 IT 기업과 대기업 중심으로 높은 임금인상 경향을 보이면서 다른 산업까지 확산할 조짐을 보여 매우 우려스럽다”며 “과도한 임금인상은 고물가 상황을 심화시키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를 더욱 확대한다”며 임금인상 자체를 공개적으로 주문한 바 있다.

여기에 더해 금융당국의 이자장사 비판도 한몫했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잔액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중은행의 이자이익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금리 인상은 한국은행의 통화정책에 따른 변화임에도 금융당국이 이를 탐탁지 않게 여긴 것이다.

오히려 미래 손실흡수능력을 재평가하기 위해 주요 은행 19곳에 스트레스테스트에 필요한 자료 제출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은행 입장에선 이익 증가에 따른 수익을 나누고 싶어도 당국의 규제 칼날로 인해 노조의 요구를 수용하기 어려웠다.

한편 금융노조는 결렬 선언 후 지부대표자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일단 금노는 중앙노동위원회를 통해 조정을 신청한다는 방침이다.

중노위가 제안한 조정안이 노사 모두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쟁의 절차를 거쳐 은행권 총파업까지 확산될 우려가 크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