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생명 ‘삼성 유쾌통쾌 건강보험(무배당) 와치4U’ 출시


삼성생명이 ‘삼성 유쾌통쾌 건강보험(무배당) 와치4U’를 출시했다. 사진=삼성생명
삼성생명이 ‘삼성 유쾌통쾌 건강보험(무배당) 와치4U’를 출시했다. 사진=삼성생명

삼성생명이 갤럭시워치4를 건강관리기기로 제공하는 ‘삼성 유쾌통쾌 건강보험(무배당) 와치4U’를 출시했다.

고객은 워치를 통해 걸음수와 운동량 측정은 물론이고 혈압, 체성분, 수면측정 등 건강 요소를 매일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운동정보는 삼성생명 전용 건강관리 앱과 연동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삼성생명은 고객의 건강관리를 돕기 위해 모든 가입 고객에게 '건강한생활 Plus’ 서비스도 제공한다. 또한 고객 건강검진 정보를 활용한 AI 건강분석서비스를 연 1회 제공한다.
 


미래에셋생명 변액보험 중심 ‘디지털자산관리센터’ 오픈


미래에셋생명이 디지털자산관리센터를 오픈한다. 사진=미래에셋생명
미래에셋생명이 디지털자산관리센터를 오픈한다. 사진=미래에셋생명

미래에셋생명이 4월부터 변액보험 중심 차별화된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자산관리센터를 오픈한다.

디지털자산관리센터는 변액보험을 중심으로 종합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심화상담 창구다.

10년 이상 자산관리 경력을 갖춘 엄선된 20여 명의 임직원 전문가 집단이 장기적 안목에서 전문성 있는 상담과 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비대면 맞춤형 자산관리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앞으로 미래에셋생명 고객은 디지털자산관리센터에서 변액보험 관련 궁금증을 해소하고 개인 상황에 맞는 맞춤형 상담을 받을 수 있다.
 


삼성화재 'MZ 고객패널' 제도 도입


삼성화재가 'MZ고객패널'을 도입한다. 사진=삼성화재
삼성화재가 'MZ고객패널'을 도입한다. 사진=삼성화재

삼성화재가 손해보험업계 최초로 MZ 고객패널 제도를 도입했다.

MZ 고객패널은 주력 소비층으로 부상했으나 아직 보험에 대한 관심이 낮은 2030 세대의 목소리를 직접 듣기 위해 도입됐다.

삼성화재 MZ 고객패널은 장기보험에 가입 중인 20세부터 30세 초반의 고객으로 구성됐다.

대학생, 직장인 등 다양한 계층으로 구성된 이들은 약 3개월간 보험에 대한 MZ세대의 인식을 조사하고 다양한 보험상품을 체험한 후 회사에 개선 의견을 전달할 예정이다.
 


흥국화재 ‘대한민국 방역왕 챌린지’ 메타버스 시상식 개최


흥국화재 '대한민국 방역왕 챌린지' 시상식. 사진=흥국화재
흥국화재 '대한민국 방역왕 챌린지' 시상식. 사진=흥국화재

흥국화재가 ‘대한민국 방역왕 챌린지!’ 캠페인 시상식을 개최했다.

이번 시상식은 게더타운 내 흥국화재 임직원 전용 메타버스 공간인 '흥국화재타운' HK오페라하우스에서 열렸다. 

흥국화재의 대표 캠페인 '흥해라! 대한민국' 캠페인 시리즈로 진행된 '대한민국 방역왕 챌린지'는 코로나 19의 장기화 및 대확산 속에 지쳐있는 의료진을 응원하고 격려하고자 기획됐다.

해당 챌린지는 홍삼스틱, 커피, 핸드크림, 손소독제 등으로 구성된 의료진 감사키트를 서울 중구 보건소에 전달하며 4월 중순 최종 마무리될 예정이다.
 


신한카드, 코로나19 타임캡슐 얼라이언스 참여


신한카드 본사 전경. 사진=신한카드
신한카드 본사 전경. 사진=신한카드

신한카드가 4차산업혁명위원회와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코로나19 타임캡슐 얼라이언스’에 참여한다.

해당 얼라이언스는 코로나19와 이로 인한 국가사회 전반의 영향과 변화 등을 기록한다.

또한 이를 분석·연구해 향후 유사 위기 대응에 활용하기 위한 데이터 보존 및 활용 체계이다.

신한카드는 코로나19 타임캡슐 얼라이언스에 참여함으로써 신한카드는 향후 코로나19 관련 데이터 등을 제공하고 관련 연구, 정책 수립, 관련 사업 등에 참여할 예정이다.
 


KB국민카드, 일반 직무 직원 대상 ‘앱 개발’ 과정 실시


KB국민카드 본사 전경. 사진=KB국민카드
KB국민카드 본사 전경. 사진=KB국민카드

KB국민카드가 직원 대상 언택트 방식 개발 과정 교육 ‘야! 너도 앱 개발 할 수 있어!’를 운영한다.

이번 과정은 IT개발 관련 사전 경험이 없거나, IT개발 관련 업무를 추진하고 있는 일반직무 직원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관련 실무 직원의 IT개발 업무에 대한 이해력과 IT개발자와 소통 능력 향상을 위함이다.

연수는 대상자 선정 과정을 거쳐 비대면으로 ‘앱 개발 기초’, ‘앱 개발 입문’, ‘앱 개발 실전’의 3개 과정으로 약 6개월에 걸쳐 교육을 받게 된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