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지주 본사 전경. 사진=우리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본사 전경. 사진=우리금융지주

우리금융그룹이 향후 5년간 총 80조원을 투입해 가계대출 중심 영업구조를 기업·첨단전략산업 중심으로 전환하고 금융 취약계층 지원을 확대한다. 정부가 추진하는 국민성장펀드에도 민간 금융사로는 처음으로 10조원을 출자해 민관협력에 나서기로 했다.

29일 우리금융은 임종룡 회장이 주재한 '우리금융 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 CEO 합동 브리핑'을 열고 생산적 금융 73조원과 포용금융 7조원의 구체적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임 회장과 정진완 우리은행장을 비롯해 증권, 보험, 저축은행, 자산운용, 벤처파트너스 등 그룹 자회사 CEO들이 모두 참석해 실행 의지를 다졌다.

임 회장은 "경제 회복과 성장을 위한 골든타임을 놓쳐서는 안 된다는 절박함 속에서 금융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겠다는 책임감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준비했다"며 "즉시 실행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금융은 현 경제 상황을 저성장 국면을 돌파하고 전환점을 만들어야 하는 시점으로 진단했다. 이에 가계·주택담보대출 중심에서 생산적 금융으로 자금 흐름을 돌리고, 기업금융 명가로서 기업과 동반성장을 추진하며, 금융 취약계층과 소상공인을 위한 포용금융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생산적 금융 73조원 중 국민성장펀드 참여금액은 10조원으로, 이는 정부가 추진 중인 150조원 규모 국민성장펀드의 약 13%에 해당하며 민간 금융사 최초의 참여 사례다. 그룹 자체투자 7조원은 그룹 공동투자펀드 1조원, 증권 중심 모험자본 1조원, 자산운용 계열사의 생산적 금융 펀드 5조원으로 구성됐다.

융자 부문에는 총 56조원이 투입된다. 이 중 AI·바이오·방산 등 K-Tech 프로그램에 19조원, 지방 우수기술기업 육성에 16조원, 혁신 벤처기업 지원에 11조원, 국가 주력산업 수출기업 지원에 7조원이 각각 배정됐다. 중소기업 인력 양성 및 소상공인 금융 지원에도 3조원이 투입된다.

포용금융 7조원은 서민금융대출 확대, 상생·보증대출 재원 출연 등 소상공인 금융지원과 저신용 고객 대출금리 인하에 활용된다. 우리금융은 이를 통해 매년 11만명씩 5년간 총 55만명의 취약계층과 소상공인을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CB 7등급 이하 신규고객에는 0.3%p, 성실상환 고객 중 CSS 4~7등급에는 0.4%p, CSS 8등급 이하에는 1.5%p 금리 인하 혜택을 제공한다.

우리금융은 이번 프로젝트 실행을 위해 자본 안정성과 건전성 관리에도 힘을 쏟는다. 주택담보·임대사업자 대출을 첨단전략산업 대출로 전환해 자산을 재편하고, 당국이 추진하는 위험가중치 조정분을 생산적 금융에 우선 반영해 자본비율 변동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연말 그룹 보통주자본비율 12.5% 달성과 배당 확대 등 밸류업 계획도 차질 없이 진행한다.

AI 기반 경영시스템도 본격 도입한다. 우리금융은 기업여신 전 과정에 AI를 도입해 서류 등록, 심사 지원, 사후관리까지 자동화하고, RM(기업금융전문가)에게 통합 분석 정보를 제공해 업무 효율과 리스크 관리 수준을 높일 계획이다. AX(AI 대전환) 우선 도입 예정 업무 190개 중 생산적 금융 관련 50여개를 먼저 추진한다.

실행력 확보를 위해 임 회장이 직접 주재하는 ‘첨단전략산업금융 협의회’를 신설해 그룹 자회사 대표들과 함께 성과를 점검하고 리스크를 관리한다. 자회사별 KPI에도 생산적·포용금융 배점을 최대 30%까지 부여해 성과 달성 유인을 높인다.

임종룡 회장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기업금융 명가로서 축적한 노하우와 종합금융그룹의 역량을 총동원해 창업에서 도약까지 기업 성장 단계별 지원을 강화하고, 생산적 금융 전환과 포용금융 확대를 통해 우리금융 지속성장의 기반을 다지겠다"며 "126년간 우리나라 근대화와 산업화를 이끈 우리금융이 이번 프로젝트를 속도감 있게 추진해 국가 경제 회복과 성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키워드
#우리금융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