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KB금융
사진=KB금융

KB금융이 국가 미래 성장산업 지원을 위해 전사적 차원의 '성장 동력 프레임워크'를 마련했다. 첨단 전략산업과 신재생에너지, 혁신기업 등에 자본을 공급하며 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을 본격화한다는 구상이다.

25일 KB금융은 오는 30일 계열사 사장단이 참여하는 '그룹 생산적 금융 협의회'를 출범한다고 밝혔다. 의장은 김성현 KB증권 대표가 맡는다. 이 협의회는 그룹 차원의 생산적 금융 전략 방향을 수립하고 계열사별 추진방안을 논의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된다.

KB금융은 KB국민은행과 KB증권에 전담조직을 신설해 첨단산업 심사·연구 기능을 강화하고, KB자산운용과 KB인베스트먼트를 통해 모험자본 공급을 확대한다. KB국민은행은 첨단전략산업 심사 유닛과 성장금융추진 유닛을 신설하고 부동산금융 조직을 축소하는 대신 기업·인프라금융을 확대한다.

특히 KB국민은행은 국내 에너지 금융주선시장에서 50% 이상을 점유하며 선도적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 제주한림해상풍력(100MW) 금융주선을 완료했으며 5조원 규모의 안마 해상풍력(532MW)과 3조원 규모의 신안-우이 해상풍력(390MW) 등 초대형 프로젝트도 산업은행과 공동 주선 중이다.

자회사들도 속도를 내고 있다. KB인베스트먼트는 모태펀드 올해 2차 정시 출자 사업에서 '넥스트 유니콘 프로젝트' 딥테크 부문 운용사로 선정돼 1500억원 규모 펀드를 조성, 반도체·바이오·모빌리티·로봇·양자기술 등 차세대 산업에 투자할 예정이다. KB자산운용은 정부가 지정한 AI, 바이오, 콘텐츠, 방산, 에너지, 제조업 6대 분야에 집중 투자하는 'KB 새로운 대한민국 펀드'를 출시해 단기간에 300억원 이상을 모았다.

KB금융 관계자는 "부가가치가 높은 미래산업에 대한 금융지원은 그룹의 본질적 책무"라며 "첨단산업과 신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생산적 금융을 확대해 국가 성장동력 확보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키워드
#KB금융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