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이 회계부정 개연성이 큰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대대적 감시 결과 과반수가 넘는 기업에서 회계 위반이 적발되며 과징금도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27일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간 회계부정 유인이 높은 458개 기업을 대상으로 재무제표 심사·감리를 벌인 결과, 214개사가 제재를 받았다. 전체 조사 대상의 46.7%에 해당한다.
이 중 52개사에는 과징금이 부과됐고 22개사는 검찰에 고발됐다. 과징금 총액은 772억원으로 연평균 257억원에 달했다. 이는 이전 3년간(2019~2021년) 356억원, 연평균 119억원과 비교해 두 배 이상 급증한 수치다.
금감원은 특히 기업공개(IPO) 준비 기업들을 집중 감시해 회계 조작으로 기업가치를 과장한 업체들의 상장을 원천 봉쇄했다. IPO 예정 기업 중 중대한 처분을 받은 3개사는 모두 상장 절차가 중단됐으며 상장 후 회계부정이 드러난 기업에 대해서는 즉시 거래정지 처분을 내렸다.
또 재무상태가 악화된 위험기업 31곳과 횡령·배임 등으로 사회적 논란을 일으킨 기업 중 회계부정 연관성이 높은 12곳도 감시 대상에 포함시켰다. 조사가 끝난 36개사 중 17곳이 처분을 받았고 이 중 7건은 중대한 조치가 내려졌다.
작년 하반기 적발된 회계 위반 사례 14건을 분석한 결과 '매출·매출원가 허위 기재'가 4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주석 누락 2건, 투자주식 과대 산정 1건, 금융부채 미반영 등 기타 자산·부채 관련 위반이 7건 순이었다.
대표적 사례로는 4년 연속 영업적자로 인한 관리종목 지정을 회피하려고 실제 상품 공급 없이 자금 거래만으로 가짜 매출을 만든 제조업체가 있다. 금감원은 이를 적발해 거래소에 통보했고, 해당 기업은 상장폐지 절차에 들어갔다.
금감원은 2011년부터 심사·감리에서 적발된 사례들을 공개해왔으며, 작년부터는 공개 주기를 기존 연 1회에서 연 2회로 늘렸다. 현재까지 공개된 지적 사례는 총 182건이다.
금감원은 상장회사협의회, 코스닥협회, 한국공인회계사회 등을 통해 주요 지적 사례를 배포해 유사 사건 재발을 막고 투자자 판단에 도움을 줄 계획이다.
- 금감원 '캡티브 영업' 한투·신한투자증권 본격 조사 착수
- 정치테마주 7할 이상 급락세...금융당국, 불공정거래 감시 강화
- 금감원 "알고리즘 관련 불건전 영업행위 엄정 대응·조치할 것"
- 금감원, ETF 운용사 현장 검사 나선다…경쟁 과열·시장 혼란 정조준
- 펀드 설명 1시간에도 절반 이해 못 해…금감원, 상품설명 개선한다
- 교보·삼성·신한투자증권 등 6개 증권사, 성과급 지급 규정 위반으로 당국 제재
- IPO 제도개편 직격탄 정책펀드…"공모주보다 채권"
- 인투셀 '지적재산권 논란'에 IPO 업계 긴장 [이슈 더보기]
- IPO 반등 기로…기업도 투자자도 '깐깐'
- 금융당국,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 출범…"자본시장 퇴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