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전경. 사진=뉴스저널리즘 DB
금융감독원 전경. 사진=뉴스저널리즘 DB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가 정치테마주 관련 투자자 피해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시장 감시 활동을 본격화하고 있다.

1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는 지난 13일 정치테마주 관련 두 번째 실무회의를 개최해 허위정보 유포와 비정상적 거래행위에 대한 공동 대응 방안을 모색했다. 이는 지난달 말 진행된 첫 회의에 이은 후속 조치로 알려졌다.

양 기관에 따르면 정치테마주로 분류된 60개 종목 중 약 72%가 최고점 대비 30%를 웃도는 하락폭을 기록했다. 문제는 이들 종목의 개인투자자 비율이 86.9%로, 전체 시장 평균(66.6%)을 크게 상회한다는 것이다. 실질적 손실이 일반 투자자에게 집중되고 있는 셈이다.

해당 종목들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고작 1% 수준인데 반해 주가순자산비율(PBR)은 코스피 평균의 3배에 달하는 2.3배를 기록했다. 일일 가격 변동성 역시 시장 평균(1.1%)의 3배인 3.3%에 이를 정도로 불안정한 패턴을 보이고 있다.

이에 한국거래소는 △시장경보종목 지정 △수시 조회공시 요청 △이상거래 집중 모니터링 등의 사전 예방책을 강화하고 있다. 금감원은 SNS와 증권 커뮤니티에서 확산되는 허위 정보와 상한가 조작 등 작전성 거래에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신속한 조사를 진행 중이다.

금감원은 "정치 테마주는 풍문과 투기적 수요에 따라 가치가 실제보다 부풀려진 경우가 많다"며 "주가 급등락을 예측해 매매 시기를 포착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회사의 본질 가치와 현재 주가의 적정 여부를 살펴본 후 투자해야 한다"며 "풍문을 생성, 유포하는 행위만으로 불공정 거래 행위에 해당되며 과징금 등이 부과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