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G손해보험의 매각 일정에 공백이 생긴 이후 가입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매각 등의 가능성을 열어두고는 있지만 사업 부진 등으로 인수 매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14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MG손해보험 매각의 주체인 예금보험공사는 정리를 위한 법률자문사 선정을 위해 공고를 냈다. 또 금융당국은 MG손보의 제3매각, 청·파산, 계약이전 등을 두고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MG손해보험의 매각을 두고 다양한 방안이 오가지만 부진한 실적 등으로 매각 실패 사례가 쌓인 만큼 계약이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우선 예금보험공사가 MG손해보험의 매각을 진행하게 된 이유가 부실금융기관 지정인데다 실적 악화가 이어지고 있다.
이미 MG손해보험은 4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자본은 지난해 3분기 기준 184억원 규모의 마이너스로 완전자본잠식 상태다.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지난해 기준 114.7%로 적자가 전망된다. 4세대 실손보험 손해율도 지난해 상반기 기준 130%로 실적 개선이 어려운 상황이다.
또 건전성 기준인 지급여력(K-ICS)비율은 지난해 3분기 말 경과조치 후 기준 43.37%다. 이는 금융감독원의 권고치인 150%에 한참 미달되는 수준이다.
MG손해보험 한 가입자는 지난달 25일 '노조로 인해 타 보험사에서 인수 포기를 함으로써 가입 고객들과 법인들의 피해 구제 청원'을 취지로 국민동의 청원을 냈다.

해당 청원의 주요 골자는 MG손해보험의 청산·파산 절차를 대비한 개인과 법인 구제다. 지난 13일 기준 청원에 대한 동의자는 2만3083명으로 공식적인 답변을 듣기 위한 동의 수(5만명)의 46%다. 해당 청원서의 마감일은 오는 23일까지다.
업계에서는 MG손해보험의 인수 대상자가 나타나더라도 노조와의 의견 조율이 숙제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MG손해보험 노조와 메리츠화재 측의 의견 조율이 실패로 돌아간 결정적인 이유는 고용승계 문제였다.
메리츠화재가 인수를 위한 최우선 협상 대상자로 지목된 당시 해당 인수는 P&A 방식으로 고용 승계 의무가 없기 때문이다.
노조 측은 재매각을 위한 특별위원회 구성 제안과 함께 금융당국에 정상적인 매각을 진행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외연 확장을 내부적으로 검토하더라도 MG손해보험을 인수하기엔 여러 리스크를 동반해야 되기 때문에 고려 대상으로 두지 않을 것"이라며 "새로운 인수 희망자가 나타날지 의문"이라고 전망했다.
- 금감원 "MG손보 처리방안, 확정된 바 없어"…계약이전설 일축
- 김용범 메리츠 부회장 "MG손보 인수, 재검토 없다"
- 미궁빠진 MG손보 인수전…메리츠 이탈에 청·파산 위기론 대두
- 메리츠화재, MG손보 인수 우선협상대상자 지위 포기
- 예보, MG손보 노조 대상 업무방해금지 가처분 신청
- MG손보, 업계 최초 가교 보험사 인가 전망
- MG손보 노조, 일부 영업 정지·폐쇄형 가교 보험사 등 금융위 방안에 비협조 선언
- 새마을금고 "가교보험사 설립 즉시 MG손해보험 상표권 해지 검토"
- 예보, MG손보 후속조치로 가교보험사 설립 추진
- MG손보 노조 "가교보험사 설립 멈춰야"
- 예보, MG손보 노조와 가교보험사 계약이전·매각 추진 합의
- 메리츠화재, '펫퍼민트' 7년간 누적가입 13만건 돌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