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ImageFX
사진=ImageFX

연이은 금융사고 발생으로 은행권 내부통제 체계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신한은행도 은행권 최초로 준법경영부를 별도로 신설하고 책무구조도를 제출하는 등 선제적으로 대처했다. 다만 횡령 사고가 발생하면서 내부통제 시스템 개선과 함께 적정 수준의 인력 확충 필요성도 제기된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올해 두 건의 금융사고를 공시했다. 외부인 사기에 의한 19억9800만원의 피해와 내부 직원의 17억원 횡령 사건이 연달아 발생했다. 피해액은 37억원 수준이다. 특히 내부 직원 횡령 사건은 2년 8개월에 걸쳐 발생했다는 점에서 내부통제 강화 움직임이 감지된다.


선제적 내부통제 시스템 구축…진옥동 회장 윤리 교육 주도


신한은행은 은행권에서 가장 먼저 내부통제 조직을 세부적으로 개편했다. 2022년 12월 말 대외 컴플라이언스 정책과 연계된 내부통제 관리체계를 혁신하기 위해 준법경영부를 신설했다. 현장 밀착형 사전통제와 대면 영업점의 사고예방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준법감시 인력을 지역본부로 전진 배치하고 준법감시 활동을 직접 수행하기로 했다.

지난해 9월에는 금융권 최초로 책무구조도를 제출했다. 임원 책무와 연계된 본부장·부서장 내부통제 업무 매뉴얼과 시스템에 기반한 점검체계를 구축했다. 올해는 정기 주주총회를 통해 이사회 내 내부통제위원회 신설 관련 정관도 변경했다. 

여기에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이 직접 윤리교육을 주도하면서 윤리의식 고착에도 힘쓰고 있다. 전 그룹 계열사 임원들을 대상으로 지속가능 경영 리더십 포럼을 열면서 윤리경영 DNA를 심고 있다. 


준법감시지원 인력 8명 늘어나…독립적 감시인력 확대 필요성도


다만 이런 노력에도 금융사고가 발생하면서 시스템과 윤리교육의 실효성에 물음표도 달렸다. 구체적으로는 준법감시 지원 인력을 더 늘려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진 회장부터 시작해 신한이 내부통제에 굉장히 엄격하다는 건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라며 "준법감시 인력을 더 늘리는 방안도 고려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국내 4대 시중은행의 지난해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신한은행의 준법감시인 지원조직 인력은 151명으로 전년 대비 8명이 늘었다. 단순 인력 수로만 따지면 국민은행(217명), 우리은행(196명) 다음이고 하나은행(148명)보다는 많다. 다만 증가 폭만 놓고 보면 2023년 대비 우리은행(59명), 국민은행(27명), 하나은행(22명)에 이어 가장 적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세부적으로는 시스템 기반 내부통제를 총괄하고 준법감시인을 지원하는 준법경영부 인원이 10명, 사고예방을 총괄하는 준법감시부 인원이 78명, 자금세탁방지부 인원이 63명이다.

준법감시부 인원 중 23명은 팀장 겸 검사역, 20명은 법률지원을 담당하는 전문계약직 변호사다. 전문성과 독립성이 보장된 인원들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을만큼 더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신한은행 "사고 원인 분석 후 시스템 강화 우선"


물론 내부통제 문제는 신한은행만의 이슈가 아니라는 점에서 인원 확충이 만점짜리 해결책은 아니라는 반론도 있다. 우리은행은 지난 3년간 직원 횡령과 부당대출 등 다양한 금융사고가 발생했고 기업은행도 초기 공시와 다르게 부당대출 규모가 확대됐다. 은행별 경영현황 공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금융사고 건수는 KB국민은행 30건, NH농협은행 25건, 우리은행 14건,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이 각각 10건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사고는 개인 윤리의식이나 시스템 작동 어느 한쪽이라도 지켜지면 발생하지 않고, 두 가지 요소가 모두 어긋날 때 사고가 터진다"며 "신한이 지속하고 있는 교육이나 구축한 시스템에 허점은 없는지 점검할 필요는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신한은행은 준법감시인력이 꾸준히 늘고 있어 사고 원인 분석과 시스템 강화가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사고가 발생했을 때 원인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보완한 후 내부통제 시스템을 더 강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