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플러스가 적자 극복에 실패하고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한편 새마을금고와 수협중앙회도 기관투자자로 홈플러스에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새마을금고·수협중앙회·행정공제회는 홈플러스에 투자한 자금 1000억원가량을 모두 상환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기관은 지난 2015년 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의 홈플러스 인수 당시 상환전환우선주(RCPS) 형태로 투자했다.
해당 RCPS 투자금은 총 7000억원으로 국민연금이 6000억원을 투자했고 새마을금고가 700억원, 수협중앙회와 행정공제회가 나머지 300억원 가량을 투자한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MBK파트너스는 인수금융대출 조건으로 RCPS 투자 참여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지난 4일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절차에 돌입하면서 투자금 회수가 불투명해졌다. 게다가 SPC(특수목적법인)인 한국리테일투자가 홈플러스의 RCPS에서 상환권을 제하고 CPS로 전환해 손실 가능성은 더욱 커졌다.
기관 투자자들은 한국리테일투자를 상대로 RCPS를 갖고 있지만 배당가능이익이 없어 상환청구권을 요구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새마을금고와 수협중앙회는 아직 손실 가능성을 확정 짓기는 이르다는 입장이다.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당장 손실 가능성을 따질 단계는 아니다"라며 "최종적으로 파산한다고 해도 청산 가치에 따라 손실 여부가 달라질 것"이라고 전했다.
수협중앙회 관계자는 "수협은 지금 채권자와 주주 모두의 입장에 있다"며 "법원 판결과 채권자 협의회 등 결과를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 홈플러스, 일반 상거래 채권 지급 재개…가용 현금 잔고 3090억
-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 신청...증권가, '영업력 약화' 예상
- '진퇴양난' 홈플러스…안녕하나
- 홈플러스, 신용등급 하락에 기업회생절차 신청…"정상 운영"
- MG새마을금고보험, 회원 위한 암뇌심 실속보장공제 판매
- 하나은행, 홈플러스 협력업체 중소기업•소상공인에 긴급 금융지원
- 시중은행, 홈플러스 협력업체에 긴급 금융지원
- 홈플러스, 협력사 납품 재개에도 정상 영업 불확실
- 갈 길 먼 새마을금고 '이사장 직선제'
- 노동진 수협 회장 "어업인-해상풍력 상생 발판 마련 큰 의미"
- 홈플러스 유동화증권 개인 투자자 "상거래채권 분류 마땅…MBK-카드사 짜고 친 판"
- MBK·홈플러스, 신용등급 하락 공시 사흘 전부터 알았다
- 새마을금고중앙회, 창립 52주년 기념 첫 타운홀 미팅…'원팀' 의식 다져
- 수협, 국산 활어 일본에 직접 실어 나른다
- 새마을금고, 지난해 1조7천억원 순손실…연체율 개선
- 신황용 수협중앙회 기획부대표 연임…임기 1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