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본사 전경. 사진=홈플러스
홈플러스 본사 전경. 사진=홈플러스

홈플러스가 적자 극복에 실패하고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한편 새마을금고와 수협중앙회도 기관투자자로 홈플러스에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새마을금고·수협중앙회·행정공제회는 홈플러스에 투자한 자금 1000억원가량을 모두 상환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기관은 지난 2015년 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의 홈플러스 인수 당시 상환전환우선주(RCPS) 형태로 투자했다.

해당 RCPS 투자금은 총 7000억원으로 국민연금이 6000억원을 투자했고 새마을금고가 700억원, 수협중앙회와 행정공제회가 나머지 300억원 가량을 투자한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MBK파트너스는 인수금융대출 조건으로 RCPS 투자 참여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지난 4일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절차에 돌입하면서 투자금 회수가 불투명해졌다. 게다가 SPC(특수목적법인)인 한국리테일투자가 홈플러스의 RCPS에서 상환권을 제하고 CPS로 전환해 손실 가능성은 더욱 커졌다. 

기관 투자자들은 한국리테일투자를 상대로 RCPS를 갖고 있지만 배당가능이익이 없어 상환청구권을 요구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새마을금고와 수협중앙회는 아직 손실 가능성을 확정 짓기는 이르다는 입장이다.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당장 손실 가능성을 따질 단계는 아니다"라며 "최종적으로 파산한다고 해도 청산 가치에 따라 손실 여부가 달라질 것"이라고 전했다.

수협중앙회 관계자는 "수협은 지금 채권자와 주주 모두의 입장에 있다"며 "법원 판결과 채권자 협의회 등 결과를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