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플러스는 신용등급 하락으로 인한 잠재적 자금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4일 오전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홈플러스 측은 "지난 2월 28일 공시된 신용평가에 온오프라인 매출 증가와 부채비율 개선 등 많은 개선사항들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아 신용등급이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홈플러스의 2025년 1월 31일 기준 부채비율과 직전 12개월 매출은 각각 462%와 7조 462억 원으로, 이는 1년 전 대비 부채비율은 1506% 개선되고 매출은 2.8% 신장된 것이다.
회생절차가 개시되면 금융채권 상환은 유예되지만, 협력업체와의 일반적인 상거래 채무는 회생절차에 따라 전액 변제된다. 임직원 급여도 정상적으로 지급될 예정이다.
이번 회생결정으로 금융채권 등이 유예돼 금융부담이 줄어들게 되면 향후 현금수지가 대폭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 홈플러스는 매출 대부분이 현금으로 이루어지는 유통업 특성 상 한 두 달 동안에만 약 1000억원의 잉여현금이 유입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잔여 계약기간 동안의 모든 임차료를 계상한 리스부채를 제외하고 운영자금 차입을 포함한 홈플러스의 실제 금융부채는 약 2조원 정도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신용등급 하락으로 인한 잠재적 자금 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기업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했다"며 "회생절차와 상관없이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정상 영업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홈플러스 노사, 2025년 임금 협약 잠정 합의…"평균 1.2% 인상"
- 홈플러스, 온라인 매출 1조5000억 돌파…"전체 매출의 20%"
- 홈플러스, 서울시 어린이병원과 '발달장애인 자립' 지원
- '물가안정' 마트3사 팔 걷었다..."대량 물량 확보에 선박운송까지"
- 홈플러스, 홈플런 is BACK…'보먹돼' 매출 5배 껑충
-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 신청...증권가, '영업력 약화' 예상
- '진퇴양난' 홈플러스…안녕하나
- 홈플러스, 일반 상거래 채권 지급 재개…가용 현금 잔고 3090억
- 새마을금고·수협중앙회, 홈플러스 투자금 손실 가능성
- 홈플러스 "상거래채권 지급 완료 통해 협력사 불편 최소화"
- 당근마켓 휩쓴 "홈플러스 상품권 팔아요"
- 신영·현대차·유진·하나증권, 홈플러스·MBK 법률위반 '고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