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지난 2015년 전라남도 여수시 무인도에서 발견된 신종 섬진달래가 일본 종과 다른 한국 특산 신종이며, 이 진달래의 학명에 하은(霞隱) 정태현 교수의 이름을 붙였다고 24일 밝혔다.
정태현 교수(1882~1971)는 일제강점기 당시 우리 자생식물의 한글 이름을 체계적으로 기록한 '조선식물향명집'의 저자이자 우리나라 식물에 독자적 이름을 부여해 식물 주권을 수호하려던 우리나라 식물분류학의 선구자다. 정 교수는 한국전쟁 이후 우리나라 최초 국문 식물도감 '한식물도감'을 저술하기도 했다.
이번에 발견된 섬진달래는 높이 1~2m 내외, 잎은 타원형이고 꽃은 노란색을 띠는 백색이 특징인 수종이다. 그간 일본 간토 지역에 국한돼 자라는 Rhododendron keiskei var. hypoglaucum종과 동일한 것으로 여겨졌으나 산림청 국립수목원, 국립창원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충북대학교, 일본 교토대학교와의 협력 연구 결과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섬진달래의 계통적 독립성이 입증됐으며, 우리나라 고유의 특산 신종임도 밝혀졌다.
새로 명명된 우리나라 고유 섬진달래의 학명은 Rhododendron tyaihyonii다.
임영석 국립수목원장은 "이번 발견은 우리 식물의 고유성과 생물 주권을 확립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며, 국립수목원은 앞으로도 우리 자생식물의 가치를 국제 사회에 널리 알리기 위한 연구와 보존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국가유산청, 10월 '중양절' 맞이 창경궁서 행사 개최
- '한화클래식 2024' 예술의전당서 11월 23∼24일 개최
- 문체부, 예비사회적기업 공모 10월 21일까지 접수
- 한국관광공사, 중동 부유층 여성 관광 수요 겨냥 상품 10월 출시
- 지난해 문화누리카드, 미사용 금액 약 294억원…전체 10%가량
- 박상영 작가 소설 '대도시의 사랑법' 프랑스 메디치상 후보 올라
- 검찰, 유시춘 EBS 이사장 법인카드 사적 유용 혐의로 소환조사
- DMZ Docs, 온라인 플랫폼 '다큐보다'서 공식 상영작 상영
- '소설로 확장하는 현실' 아르코 문학주간 27일 개막
- 한무희 교수, 국립중앙도서관에 희귀자료 포함 고문헌 등 1900책 기증
- 법제처, 한글날 맞이 올해의 알기 쉬운 법령 용어 3건 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