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겸 작가 차인표. 사진 = 아리랑TV
배우 겸 작가 차인표. 사진 = 아리랑TV

아리랑TV는 오는 14일 오후 4시 50분부터 광복절 특집 방송으로 배우 차인표의 일본군 위안부 성노예 피해를 담은 작품 '언젠가 우리가 같은 별을 바라본다면' 관련 인터뷰를 방송한다고 밝혔다.

차인표는 일본군 위안부 성노예 피해를 다룬 소설 '언젠가 우리가 같은 별을 바라본다면'을 포함해 총 3권의 책을 썼으며, 해당 도서는 최근 옥스퍼드대학교 필수 도서로 선정돼 '제1회 옥스퍼드 한국 문학 페스티벌'의 강연자로 나섰다.

이날 방송은 차인표와 손지애 외교부 문화협력대사가 출연한다. 차인표는 작품 집필 계기부터 초기 구성 방향, 집필 과정에서의 어려움 등을 이야기할 예정이다.

차인표는 이날 방송에서 작품 집필 계기에 대해 "신혼 시절이었던 1997년, 집에서 TV를 보다가 캄보디아에서 55년 만에 돌아온 위안부 훈 할머니의 입국 장면을 봤다"며 "16세에 일본군에 끌려갔던 한 소녀가 광복 이후에도 수치심에 고향에 돌아오지 못한 다른 많은 소녀들처럼 55년을 캄보디아 정글에서 숨어 살았고, 죽기 전에 집에 돌아가고 싶어 돌아온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당시 입국장에서 아리랑을 부르던 훈 할머니를 보고 슬픔, 분노, 실망, 굴욕 등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감정에 마음이 아팠다"며, "'만약 이 소녀들을 빼앗기지 않고 어떻게든 고향에 머물게 했더라면 어땠을까?'라는 질문으로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차인표는 일본 정부의 일본군 위안부 문제 관련 대처에 대해 "100년 전 문제가 아직도 진행 중인 이유는 한 시대의 고통이 충분히 공감되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한국인이든 일본인이든 세계 어느 사람이든 함께 모여 위안부의 고통을 충분히 공감한다면 강제된 사과가 아닌 진정한 사과가 나오고, 다음 세대를 위한 진정한 화해가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