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한글박물관 광복 79주년 맞이 특별해설 '함께 지켜낸 글, 한글' 안내 책자. 사진 = 국립한글박물관 
국립한글박물관 광복 79주년 맞이 특별해설 '함께 지켜낸 글, 한글' 안내 책자. 사진 = 국립한글박물관 

문화체육관광부 국립한글박물관은 오는 8월 1일부터 31일까지 서울 용산구 한글박물관 상설 전시실에서 광복 79주년 맞이 특별해설 '함께 지켜낸 글, 한글'을 연다고 30일 밝혔다.

해설은 한글이 갖는 문자 독립의 가치와 한글 창제 이후 한글 보급, 일제 강점기 한글을 지켜낸 이야기를 중점적으로 소개한다.

해설은 '훈민정음 언해본'을 시작으로 조선시대 한글 확산에 일등 공신이 된 한글 소설·한글을 나라 공식 글자로 선보한 '고종 칙령 제1호', 최초 한글 신문 '독립신문', 외국인 독립유공자가 쓴 최초의 한글 세계지리 교과서 '사민필지'를 설명한다.

일제강점기, 일본의 한글 탄압과 나라·언어를 빼앗긴 현실은 조선총독부가 발행한 '조선어 독본(한글)'과 '국어 독본(일본어)'로 살필 예정이다. 주시경과 제자들이 쓴 우리나라 최초의 국어사전 원고 '말모이', 일제강점기 한글을 수호한 조선어학회의 활동, 1930년대 신문사가 주관하고 학생자원봉사자들에 의해 전국적으로 실시된 한글보급 운동과 당시 사용된 교재 '한글 공부'도 선보인다.

광복 후는 우리말과 정신을 되찾기 위해 편찬된 대한민국 첫 국정 국어 교과서 '바둑이와 철수', 윤동주 시인의 유고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통해 한글의 의미와 선조들의 노력을 되새겨본다.

해설은 매일 오후 2시, 4시 총 2차례 진행되며, 해설에 참여한 관람객들에게 소정의 기념품도 함께 제공된다. 자세한 내용은 국립한글박물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