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당국이 최근 상호금융권의 건전성이 취약해지면서 상호금융권과 배당자제, 이익금 내부 유보 등 다각적 대응 여력 확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1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신협·농협·수협·산림조합·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 관계부처·유관기관은 20일 '2024 제1차 상호금융정책협의회'를 열어 상호금융권 건전성 제고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당국은 협의회 착석자에게 최근 상호금융권의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가 악화하고 있는 만큼 조합 차원에서 배당자체와 이익금 내부 유보 등 다각적 대응 여력 확보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상호금융권은 위기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최소자본금 규제를 정비해 자본금을 확충하고, 부실 확대 방지를 위한 거액여신한도 관리를 제도화하는 등 상호금융권 건전성 제고 방안을 두기로 했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5월 발표한 '상호금융권 거액여신 한도 관리 방안'에서 자산총액이 1000억원 이상인 상호금융조합의 거액여신 합계액이 자기자본의 5배 또는 자산총액의 25%를 초과하는 경우 추가로 거액여신을 취급하지 못하게 한 바 있다.
참석자들은 추후 상호금융권 건전성 제고 방안에 대한 실무협의를 거쳐 추진방식과 세부 사항을 지속해 협의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또한 상호금융권은 부동산 PF 정상화를 위해 사업성 평가 기준 개선과 사업성이 부족한 사업장에 대해 객관적 평가를 거쳐 재구조화 정리에 나선다. 또한 관련 사항을 차질 없이 이행하는 등 부동산 PF의 질서 있는 연착륙을 위해 살피겠다고 했다.
- 금융위 "부동산 PF 대책, 금융·건설사 감내 가능한 범위 내 추진"
- 이복현 "6월 중 공매도 일부 재개 추진"
- PF 연착륙, 사업 평가 기준 강화…은행·보험업계 공동대출로 5조원 지원
- 신협중앙회, 부실채권 자회사 설립…'연체율 관리'
- 새마을금고, 캠코에 부실채권 2000억원 매각
- 미국 주식 결제주기 단축…금감원, 증권사 점검
- 금감원, 삼성·하나증권 '자금세탁방지' 업무 실태 점검
- 새마을금고, MG체크카드 착한가격업소 캐시백 이벤트 실시
- 1분기 은행 부실채권, 3달 만에 9천억 늘었다
- '보험 가입' 문자 차단 쉬워진다…'두낫콜' 확대
- 은행권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 11년 만에 최고…저축은행 대출도 어려워
- 금융위, 보험사기방지법 개정 앞두고 보험조사협의회 개최
- 신협, 연체율 비상에 NPL 자회사 내세워…회수율 '관건'
- 금감원 압박에도 신협중앙회 내부통제 '무응답'…김윤식 회장 책임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