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금융위원회
사진=금융위원회

금융당국이 최근 상호금융권의 건전성이 취약해지면서 상호금융권과 배당자제, 이익금 내부 유보 등 다각적 대응 여력 확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1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신협·농협·수협·산림조합·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 관계부처·유관기관은 20일 '2024 제1차 상호금융정책협의회'를 열어 상호금융권 건전성 제고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당국은 협의회 착석자에게 최근 상호금융권의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가 악화하고 있는 만큼 조합 차원에서 배당자체와 이익금 내부 유보 등 다각적 대응 여력 확보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상호금융권은 위기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최소자본금 규제를 정비해 자본금을 확충하고, 부실 확대 방지를 위한 거액여신한도 관리를 제도화하는 등 상호금융권 건전성 제고 방안을 두기로 했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5월 발표한 '상호금융권 거액여신 한도 관리 방안'에서 자산총액이 1000억원 이상인 상호금융조합의 거액여신 합계액이 자기자본의 5배 또는 자산총액의 25%를 초과하는 경우 추가로 거액여신을 취급하지 못하게 한 바 있다.

참석자들은 추후 상호금융권 건전성 제고 방안에 대한 실무협의를 거쳐 추진방식과 세부 사항을 지속해 협의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또한 상호금융권은 부동산 PF 정상화를 위해 사업성 평가 기준 개선과 사업성이 부족한 사업장에 대해 객관적 평가를 거쳐 재구조화 정리에 나선다. 또한 관련 사항을 차질 없이 이행하는 등 부동산 PF의 질서 있는 연착륙을 위해 살피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