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금융지주 본점 전경. 사진=각 사.
4대 금융지주 본점 전경. 사진=각 사.

은행권 이자이익에 곱지 않은 시선이 이어지고 있다. 시중은행은 이미 수천억원 규모 상생 방안을 내놨지만 정부 압박은 여전하다. 금융권에서는 파격적인 이자이익 반납이나 임원 연봉 삭감이 필요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전날 은행 이자 수익에 "국민 입장에서는 '우린 금리 인상으로 고통받는데 한 쪽에선 이자수익으로 잔치를 하고 있냐'는 것으로 국민이 이를 굉장히 비판적이고 고깝게 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금융권에서도 국민의 따가운 시선에 어떻게 화답할 것인지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며 "상생 금융 차원의 좋은 방안이 머지않아 제시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앞서 추 부총리는 지난 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도 "민생이 어려운 상황에 있어 은행을 향한 시선이 곱지 않다"고 지적한 바 있다.

올해 상반기에는 은행뿐만 아니라 범금융권이 금융당국 지휘하에 상생 금융안 마련에 동참했다. 보험·카드사는 한 차례 상생 금융을 실천하는 데 그쳤으나 은행은 이자이익 확대로 여전히 뭇매를 맞는 중이다.

은행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 여러 차례 주택담보대출, 전세자금대출 등의 금리를 인하했고 올해 상반기 자체적으로 이자 캐시백·유예 방안을 내놨다.

지난 2월에는 은행권 공동 10조원 규모 사회공헌 방안을 내놨지만 실제 지원 금액이 적다는 이유로 되려 비판을 받았다.

이어 이달 하나은행, 신한금융지주가 1000억원 대 추가 금융 지원 방안을 준비했고 우리금융지주와 BNK금융지주는 추가 지원 방안 논의에 돌입했다.

그렇지만 김주현 금융위원장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에 이어 추경호 경제부총리까지 압박을 이어가자 은행권 고민도 커지고 있다.

임직원이 나서 연봉을 삭감해야 한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상여금 및 배당액이 이자 장사 비판의 주요 안건이었던 만큼 좀 더 근본적인 차원의 고통분담이 필요하다는 맥락이다.

실제로 지난 2008년~2009년 세계금융위기 당시 이명박 정부는 경제가 어려워도 은행 임직원이 고액 연봉을 받는 점을 지적했다. 이에 KB금융지주 황영기 전 회장, 김중회 전 사장과 강정원 전 KB국민은행장은 연봉 20% 삭감에 나섰다. 하나금융지주도 임원 연봉을 30% 줄였고 신한지주와 우리금융지주도 계열사 임원 연봉을 최대 20% 깎았다.

2014년에는 정부의 방만경영정상화 방침에 따라 KB·신한·하나·우리·BNK·JB·DGB금융지주 회장단은 연봉 20~30% 삭감을 결의했다. 2014년 당시 4대 금융지주 회장 연봉은 10억원~20억원대로 나타났다. 당시 금융위원장을 맡고 있던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은 금융지주 회장단 연봉 반납이 바람직하다고 평가한 바 있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현재 금융지주 회장 연봉이 2014년에 비해 크게 오르진 않았다"며 "고연봉 비판이 컸으니 이런 방안도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당시와는 분위기가 다르다는 의견도 있다. 고금리 기조로 소상공인과 서민 고통이 커진 만큼 이를 덜어줄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이 더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은행 관계자는 "정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는 게 아니니 조심스럽다"며 "금융당국과 정부가 추구하는 방향이 어떤 것인지 계속 지켜보며 실질적인 방안을 강구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금융당국은 오는 16일 주요 금융지주 회장단과 만나 상생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