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도서관은 2023년 한국고문헌국역총서 제15집으로 영조와 정조 2대에 걸쳐 20년간 재상을 지낸 고정(古亭) 김치인(1716~1790)의 친필 유일본을 번역한 ‘국역 고정일기’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김치인은 형조판서와 이조판서, 우의정과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까지 역임하며 국정 운영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로, 제도와 법률 등에 해박하여 국가적인 대의와 제도를 담은 ‘국조상례보편’, ‘명의록’, ‘대전통편’ 등의 편찬을 주관했다. 그러나 현재 그의 문집이나 저작들이 전해지고 있지 않아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친필본 ‘고정일기’가 김치인의 삶과 사상을 살펴볼 수 있는 유일한 저작물이다.
‘고정일기’는 1764년과 1765년 2년간에 걸쳐 재상으로서 김치인이 보고 들은 공적, 사적 내용들을 기술한 일기로, 기록되지 않은 날이 총 60일 남짓에 불과할 정도로 다른 어떤 일기보다 빈틈없이 철저하게 기록돼 있다. 또한 공적인 기록들은 ‘영조실록’이나 ‘승정원일기’의 해당 기사와 거의 일치할 정도로 높은 객관성을 보여주며, 사적인 기록들도 자신의 의견이나 심정을 철저히 배제한 채 사실만을 정리했다.
특히 ‘고정일기’의 날씨 기록은 어떤 일기보다도 특별하고 상세하게 기록돼 있다. 비와 눈이 내리거나 바람이 불고 구름이 끼는 등의 기본적인 기상 묘사는 물론이고, 강수량의 차이와 눈비의 종류를 세분화했으며 새벽, 아침, 오전, 정오, 오후, 해질녘, 저녁 밤, 깊은 밤 등 시간대까지 잘게 쪼개서 날씨 변화를 면밀하게 기록했다.
조혜린 국립중앙도서관 고문헌과장은 “‘고정일기’는 개인의 일기지만 영‧정조 시대를 조명하는데 관찬 사료 못지않은 높은 신뢰성을 지닌 역사 자료이며, 1764년과 1765년 2년간의 날씨를 세밀하게 복원할 수 있는 기상학 자료로서의 가치도 높다”고 말했다. ‘국역 고정일기’는 ‘한국고문헌종합목록’ 누리집 자료실에서 이용할 수 있다.
- 서울야외도서관, 올해 150만명 발길…12일 폐막 행사
- 국립중앙도서관, ‘K-문학의 재발견’ 문학 기행 강연회
- 97돌 맞은 또 하나의 우리글…문체부, ‘한글 점자’ 기념식
- 국립중앙도서관, ‘고신문 디지털화 현황’ 이슈페이퍼 발간
- 도서관 목록의 혁신과 미래…국립중앙도서관, 국제회의 개최
- 송파글마루도서관, 개관 10주년…28일 기념 행사
- 책으로 중동과 소통…‘샤르자국제도서전’ 주빈국으로 참가
- 한국잡지협회·세종시립도서관, ‘근현대잡지 특별전’ 개최
- 국가유산 발굴·연구…‘전북문화재연구센터’ 2026년 개관
- 국립중앙도서관, ‘해외 한국학 사서 워크숍’ 개최…10개국 참가
- 이제현 ‘익재난고’ 연구 발표…국립중앙도서관 학술대회
- 제천시립도서관, ‘전국도서관대회’ 최우수 선정
- 북토크·공연·전시…‘2023 파주북소리’ 27일 개막
- 제60회 전국도서관대회, 제주서 18~20일 개최
- 한글학회, 국립중앙도서관에 고문헌 2630책 기증
- 국립중앙도서관, 국가지식정보협의회 발족
- 수원중앙도서관, 경희대 아프리카연구소와 협력·교류 ‘맞손’
- “도서관서 따뜻한 겨울나세요”…서울도서관 등 방문 캠페인
- 여행하면 떠오르는 도서 1위는? 김영하의 ‘여행의 이유’
- “서울야외도서관, 8개월간 160만명 발길”
- 작은도서관 600곳에 234명 파견…’순회사서’ 성과 공유
- ‘ODA 도서관 운영’ 코이카, ‘독서경영 우수 직장’ 선정
- 국립중앙도서관, ‘데이터 활용 콘텐츠 제작 공모전’ 시상식 개최
- “방문객 200%↑”…문체부, 하노이시립도서관 조성사업 성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