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제공=국립중앙도서관
사진 제공=국립중앙도서관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도서관은 한글학회로부터 우리말 사전 참고용으로 수집 보존하던 420종 2630책을 기증받았다고 8일 밝혔다.

국립중앙도서관은 ‘한글학회문고’를 설치하고 오는 13일에 기증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한글학회에서 기증한 고문헌들은 ‘조선말 큰사전’을 비롯해 여러 사전 편찬에 참고하기 위해 일제강점기 시기부터 모은 자료들이다.

이 가운데는 ‘역과방목’, ‘완당척독’ 등 일제강점기 국어학자이자 조선어연구회 창립 회원인 권덕규(1890~1950) 선생을 비롯해 여러 국어학자들이 기증한 책들도 포함돼 있다. 또한 고구려 광대토대왕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의 탁본 ‘구탁호대왕비’와 같은 국내 희귀자료도 있다.

한글학회는 우리 말과 글을 연구하고 교육, 보급하여 발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1908년 8월31일 주시경(1876~1914)이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과 함께 ‘국어연구학회’라는 이름으로 첫발을 내디뎠다.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 학술단체로서 일제강점기에 조선어학회 수난을 겪으면서도 우리 말글을 지키고 발전시켜왔다.

조혜린 국립중앙도서관 고문헌과장은 “100년 이상 한글학회에서 보관하고 있던 귀중한 고문헌을 선뜻 기증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하며, 기증된 자료는 앞으로 디지털화하여 연구자를 비롯한 모든 국민들이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김주원 한글학회 회장은 “여러 한글학자들의 애정이 담긴 고문헌이 한글학회 이름으로 문고가 설치되어 기쁘게 생각하고, 많은 국민들이 공유하며 연구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전했다. 한글학회문고 자료는 오는 12월부터 국립중앙도서관 고문헌실에 신청하면 열람할 수 있다.

키워드
#도서관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