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제공=한국영상자료원
사진 제공=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상자료원(이하 영상자료원)이 19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한국영화 현장에서 활동했던 영화 제작자와 감독 14인의 인터뷰를 담은 ‘한국영화, 열정을 말하다’를 발간했다.

책의 인터뷰 내용은 2021년에 기증받은 다큐멘터리 영상 ‘한국영화, 열정을 말하다’에서 발췌한 것으로, 다큐멘터리 영상은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에서 2008년에 기획한 프로젝트의 결과물이다.

총 17명의 현장 영화인들로부터 총 21시간15분 분량의 인터뷰를 진행했으며, 현재 영상자료원에서는 동영상 자료 일체를 보존하고 있다. ‘한국영화, 열정을 말하다’에서 인터뷰를 진행한 17인 중 이 책에서는 14인의 영화 제작자와 감독들의 이야기를 요약·정리했다.

책에서는 황기성과 이춘연, 유인택, 차승재, 심재명, 김승범 등 1990년대부터 2000년대 가장 활발하게 활동했던 영화제작자들을 비롯해 한국 최초의 천만영화 ‘실미도’의 강우석, 한국영화에 대한 인식을 바꾼 ‘쉬리’와 ‘태극기 휘날리며’의 강제규, 한국 멜로드라마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평가받는 ‘접속’의 장윤현, 국내외 독립·예술영화를 배급·상영해 온 조성규와 손주연, 다큐멘터리 ‘낮은 목소리’ 시리즈로 주목을 받으며 이후 상업영화로까지 영역을 넓혀간 변영주, 우수한 저예산 영화들을 제작한 오기민·김조광수 감독의 인터뷰가 담겼다.

인터뷰 참여자들의 생애를 따라가며 그들이 경험하고 이야기하는 한국영화의 역사적 순간들을 통해, 19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한국영화산업의 다양한 측면들을 살펴본다. 영화제작자 차승재는 1980년대부터 비디오라는 새로운 매체의 출현과 함께 한국영화산업에 대기업 자본이 들어오기 시작했다고 말한다. 이 새로운 자본은 산업의 성격과 시스템을 바꿔갔다. 여기에 유인택, 신철, 심재명, 이은과 같은 새로운 인력이 한국영화계에 들어와 변화하는 시스템에 빠르게 적응하며, 이전과 다른 방식으로 한국영화를 만들었다.

책에는 이들이 ‘기획실모임’을 형성하고 각자의 제작사를 차려 영화를 만들게 되기까지의 과정이 자세히 담겨있다. 또 영화제작업이 표준산업분류상 서비스업에서 제조업으로 분류되며 벤처 자본의 투자를 받을 수 있게 됐고, 일신창업투자에 있던 김승범은 투자자들을 설득해 한국영화 최초로 ‘은행나무 침대’(강제규, 1995)에 벤처 자본을 투입했다. ‘은행나무 침대’의 성공으로 한국영화에 벤처 자본이 물밀듯 유입됐고, 이 흐름을 타고 제작자와 감독은 참신한 아이디어를 영화 속에 아낌없이 쏟아냈다. 그리고 이 시기 한국영화산업 내에서는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들도 이어졌다.

오기민의 마술피리, 김조광수의 청년필름와 같은 제작사에서는 대중의 호평을 받는 예술영화·저예산 독립영화들을 제작했다. 그리고 조성규·손주연은 스폰지하우스와 아트하우스 모모를 통해 이러한 영화들이 대중과 만날 수 있도록 상영 공간을 확보하고자 노력했다. 영상자료원은 “이들이 한국영화의 다양성을 유지하고자 노력하는 과정들 속에서 오늘날 한국영화산업이 아직도 풀지 못한 과제들의 면면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영화, 열정을 말하다’는 e-북으로 발간돼, 현재 KMDb 구술컬렉션 페이지와 각 온라인 서점에서 무료로 만나볼 수 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