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화재재단이 ‘한국의집’의 역사와 이야기를 담은 ‘기억과 기록으로 다시 짓는 한국의집’을 출간했다.
‘한국의집’은 조선 전기 문신이자 사육신 중 한 명인 박팽년의 집터 위에 세워졌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의 2인자인 정무총감의 관저로 사용된 공간이자 해방의 소식을 처음 맞이한 뜻깊은 공간이다.
1945년 8월15일 엔도 류사쿠 정무총감은 여운형 선생을 관저로 불러 치안과 질서 유지를 담보로 협상을 진행했다. ‘한국의집’은 해방의 역사를 내딛는 첫 번째 장소가 됐다. 해방 후 주한미군정청이 관리하며 숙소 겸 미군의 위락시설로 활용했고, 이 무렵부터 ‘한국의집’은 ‘코리아 하우스’로 불렸다.
‘한국의집’은 전쟁 후 영빈관과 한국 문화 체험 시설로 활용되다 1955년 공보처가 대통령 직속 공보실로 변경되며 1957년 대대적인 개보수를 진행했다. 이때부터 ‘한국의집’은 한국의 전통 생활과 문화를 소개하고 즐길 수 있는 장소로서 역할을 수행하게 됐다.
당시 건축물은 한국 전통 양식과 서양식, 일본식이 혼합된 형태였으며, 1978년 ‘우금헌(구 문향루)’을 제외한 모든 건물이 한국 전통 양식으로 다시 지어졌다. 1981년 2월 재개관해 지금의 ‘한국의집’이 됐다.
1981년 한국의집 재개관 시 당시 최고의 서예가인 일중 김충현, 원곡 김기승, 여초 김응현, 청남 오제봉, 청명 임창순 선생이 제작한 현판과 주련은 지금도 ‘한국의집’을 지키고 있다. 책의 마지막 부분에 현판과 주련의 해설을 포함해 당시의 글씨와 의미를 오롯이 느낄 수 있도록 했다.
도서 제작 과정에서 저자로 참여한 오일환 아르고인문사회연구소 대표연구위원은 ‘문향루(聞香樓)’의 원래 이름은 일제강점기 정무총감 관저 내에 있던 ‘문향각(聞香閣)’에서 유래한 것이며 ‘문향각’은 이완용이 당시 정무총감인 미즈노 렌타로를 찬미하기 위해 만든 명칭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재단은 친일 잔재 자료를 확인한 후 ‘문향루’의 명칭을 ‘우금헌’으로 새롭게 정하고 현판을 바꿔 걸었다. 재단은 “일제의 잔재를 바로 잡고 진정한 우리 전통문화를 보여주는 ‘한국의집’이 되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라 밝혔다.
한국문화재재단은 1980년 ‘한국의집’의 위탁관리를 맡으며 ‘한국문화재보호협회’로 시작했다. 서울 중구 퇴계로36길에 위치한 ‘한국의집’은 재개관 후 지금까지 궁중음식과 전통혼례 등의 계발‧보급을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궁중음식을 기반으로 한 전통음식의 보급과 함께 전통혼례문화의 대중화와 보존을 위해 노력력하는 한편, 민속극장은 국악계의 사관학교이자 국악인들의 사랑방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오고 있다. 당대 최고의 무용가이자 안무가인 홍금산, 정재만, 최현, 박병천, 송범, 국수호 등이 한국의집예술단 단장을 역임했으며, ‘한국의집 민속극장’은 코로나19로 인해 상설공연을 중단하기 전까지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매일 전통예술공연이 펼쳐진 장소였다.
- [신간] 물가 상승의 흑막 ‘원자재 시장’은 누가 움직이나
- [신간] 듀스 30주년…김성재의 처음과 끝 담은 3년의 기록
- 문체부 “운영‧회계 진실 추적” vs 출협 “박 장관 해임 해야”
- 책 읽는 여름휴가…부산 46개 공공도서관 ‘북캉스’ 캠페인
- 출판문화협회 “헌법재판소 도서정가제 합헌 결정 환영”
- 출판진흥원, 중소출판사 지원 사업에 120편 선정
- ‘검정고무신’ 대책위 “문체부 시정명령, 강제력 부족”
- 경기도사이버도서관, 휴가철 맞아 전자책 서비스 확대
- 태국 내 K-북 열풍 확산…출판진흥원, ‘방콕 도서전’ 개최
- K-문학 매력에 풍덩…‘한국문학 리뷰대회’ 개최
- [신간] 활명수·스팸·새우깡…여전히 잘 팔리는 제품의 성공 비밀
- [신간] 인간의 역사 뒤 숨겨진 동물들의 세계사
- 카카오 브런치, 종이책 출판 공모전…10월22일까지 접수
- ‘프랑스인 소리꾼’ 마포 로르가 들려주는 판소리의 미학
- 서울역사편찬원, ‘청와대, 파란 기와집 역사 이야기’ 발간
- [신간] 불면증부터 기면병까지…신경과학으로 본 수면의 비밀
- [신간] 한국영화의 르네상스는 어디에서 왔을까
- [신간] 출간 80주년 ‘어린 왕자’, 알레마냐 그림으로 재탄생
- [신간] 명작과 인생, 그 사이로 흐르는 클래식 음악 이야기
- [신간] 베버는 왜 종교적 원천을 탐구했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