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가 가짜뉴스 근절에 나선다.
방통위는 “뉴스타파의 이른바 허위 인터뷰 기사 등 심각한 가짜뉴스 문제와 관련, ‘가짜뉴스 근절 TF’를 가동해 방송‧통신 분야의 가짜뉴스 근절에 본격적으로 나설 예정”이라고 6일 밝혔다.
‘가짜뉴스 근절 TF’는 가짜뉴스 문제가 주요 선거 결과에도 영향을 미치는 등 심각한 폐해가 반복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가짜뉴스에 대한 긴급 대응체계를 시급히 마련하기 위해 입법 조치 등을 철저히 이행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는 이동관 위원장이 지난 4일 “특정 매체가 가짜뉴스의 원천 역할을 하고 포털, 유튜브 등을 통해 확산시키며 공영방송이 재보도하는 조직적인 악순환을 근절할 수 있도록 대응하겠다”라며 가짜뉴스 엄단 의지를 표명한 데 따른 조치다.
TF는 우선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이하 방심위)를 비롯한 유관기관과 협조해 가짜뉴스에 대한 조치가 미흡한 방송 통신 분야에 대한 철저한 심의와 이행 조치에 나설 예정이다. 특히 인터넷 언론 등의 매체에 대한 규제책 마련 등 제도 개선 추진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방심위와 언론중재위원회로 이원화된 대응체계는 가짜뉴스의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 계속됨에 따라 고의나 중대 과실 등에 의한 악의적인 허위 정보를 방송 통신망을 이용해 유포할 경우 ‘원스트라이크 아웃’이 가능한 ‘통합 심의법제’ 등 보완 입법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한편, 방통위는 포털과 SNS 및 동영상 플랫폼 등을 통해 무분별하게 가짜뉴스가 확산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 사업자의 관리 책임 강화 등을 위해 관련 부처 및 국회와 지속적으로 긴밀하게 협력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 문체부, MBC 오염수 정책광고 보도에 반박…정정보도 청구
- 숏폼 챌린지·커피차 이벤트…방통위 ‘디지털 윤리 주간’
- 방통위, 방송콘텐츠 제작역량 평가에 사업자 규모 반영
- KBS, 방통위의 이사장 해임안 의결에 “부당한 압력 멈추길”
- 방통위, SBS 재난방송 대응상황 현장 점검
- ‘연 71만원’ EBS 중학 프리미엄, 17일부터 무료 전환
- 방통위 “분리징수 공포되면 TV 수신료 안내도 불이익 없어”
- 문체부, ‘가짜뉴스 신속 대응 자문단’ 운영
- “가짜뉴스 OUT”…언론재단, 피해 신고·상담센터 출범
- 장기입원자 유료방송 대리 해지 쉬워진다
- 방통위, TV조선 4년 재승인 의결…창사 후 최고점
- "20대는 인터넷, 70대는 TV 신뢰"
- 방통위, '가짜뉴스 판별' 디지털 공동체 만든다
- 방통위, 방송분야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실시
- 방통위, 태국 방통위와 ‘디지털 이용자 보호 정책 방안’ 논의
- 문체부 “뉴스포털에 가짜뉴스 유통 개선 촉구”
- SBS ‘가디언즈 오브 툰드라’, 방통위 방송대상
- “장애인 미디어 접근성 높이자”…방통위 ‘배리어프리’ 캠페인
- 문체부, 지역신문 지원 계획 발표…“법·제도 개선 검토”
- 방통위, 가짜뉴스 퇴출 위한 신속심의‧구제제도 가동
- 방심위, 구글 부사장과 면담…가짜뉴스 유통방지 논의
- 방심위, ‘가짜뉴스 심의전담센터’ 공식 출범
- EBS, 온라인클래스 교육콘텐츠 공모전 개최
- 방심위 사무총장에 이현주 전 KBS 대구방송총국장
- 언론재단 ‘어린이 미디어 이용 조사’, 국가승인통계 지정
- 방통위, 시청자 권익보호 플랫폼 ‘미디인’ 출범
- 방통위, 지역방송 콘텐츠 해외 진출 지원 행사 개최
- 방심위·인터넷신문협회, 가짜뉴스 자율규제 협의체 구성
- 방통위, OTT·음원 서비스에 해지 간소화 권고
- 이동관 방통위원장, 탄핵안 처리 앞두고 자진 사퇴
- 방통위, 시청자미디어대상 시상식 개최…대상에 ‘인연’
- 방통위, 경남 창원에 ‘시청자미디어센터’ 개관
- 방심위, 종편·보도채널에 왜곡보도 자체심의 강화 당부
- 문체부, 언론중재위원회 중재위원 15명 위촉
- “K-콘텐츠 선호도, 대만·인도네시아서 1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