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통신위원회가 허위정보를 판별할 수 있는 팩트체크 교육 등 디지털 소통역량을 강화한다.
방송통신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는 27일 '디지털 미디어 소통역량 강화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정부의 '코로나19 이후 시대 핵심과제'로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등 관계부처와 지속적인 논의 협력을 통해 마련했다.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방식이 전면화되면서 TV, OTT(인터넷 동영상서비스), SNS(사회관계망서비스) 등 디지털 미디어 이용이 크게 증가하면서 디지털 미디어의 이용이 크게 증가했다.
그러나 이면에 개인의 고립과 공동체 해체를 가속화하고 취약계층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역기능도 증가하고 있다.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은 "비대면 사회에서 더욱 중요해진 디지털 미디어 활용능력을 전 국민이 갖출 수 있도록 미디어교육을 확대하고, 인프라를 강화해야 한다"며 "누구도 미디어교육의 혜택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촘촘히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우선 정부는 미디어교육 거점시설을 전국에 확대 구축하고 누구나 쉽게 미디어 제작·체험 할 수 있도록 시설·장비를 무상으로 지원한다.
미디어교육원을 교원연수 전문기관으로 육성하고 학교미디어교육센터를 신설하는 등 원격수업이 본격화된 교육현장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또 자유학기제·고교학점제 등 교육과정과 연계한 학교 미디어교육을 확대하고, 장애인·다문화 가정·학교 밖 청소년까지 촘촘한 교육을 시행한다.
농·산·어촌에는 찾아가는 교육을 확대하고, 1인 미디어 창작자 양성 교육도 실시한다.
미디어에 대한 비판능력을 키우기 위해 팩트체크 시민교육을 확대하고 국민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팩트체크 오픈 플랫폼을 구축·운영할 예정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이번 종합계획을 시작으로 비대면 사회에 디지털 미디어 서비스가 확대되는 과정에서 소외되는 사람이 없어야 한다"며 "디지털 미디어를 매개로 국민이 더 행복해지는 건강한 디지털 공동체를 만들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