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4일 ‘긴급 리스크 점검회의’를 열고 국내외 경제·금융시장 동향 및 주요 리스크 요인을 점검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원장은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및 주요국의 통화긴축 가속화 등 대외여건 악화로 국내경제 성장세가 둔화하고 있다”며 “금리 상승으로 과다채무자 등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이자부담이 증가하고 주식·부동산 등 자산가격 조정이 나타나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에 이 원장은 차주부실 및 담보가치 하락에 따른 개별 금융회사의 유동성·건전성 리스크를 업권별 특성을 감안하여 집중 관리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금융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되지 않도록 모니터링 강화 및 대응체계를 구체화하고서민, 취약계층이 금리상승, 자산시장 가격조정으로 과도한 상환부담을 겪지 않도록 연착륙 방안을 적극적이고 세밀하게 모색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금리 상승에 따른 취약차주 및 금융회사 부실위험, 외화유동성 사정 등을 중점 점검했다.
은행의 경우 예대금리차 공시 개선, 금리인하 요구제도 활성화, 취약차주 맞춤형 지원 확대 등을 통해 취약차주의 부실화 가능성 최소화에 집중한다.
보험은 자체 자본관리 강화 및 유상증자 등 자본확충을 유도하고 취약회사에 대한 상시점검을 통해 필요시 조치방안 강구에 나선다.
금융투자업권은 시장지표 추이 및 외국인 투자매매동향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업계 공동으로 증권사 건전성 및 유동성 등 리스크 요인별 대응능력을 상시 점검하기로 했다.
금융감독원은 “위기상황에서 경제·금융시장 안정화를 위하여 주어진 역할을 충실히 해나가는 동시에 금융위·기재부 등 관계기관과 적극적으로 협조할 것”이라고 밝혔다.
- 이복현 금감원장, 보험사 CEO에 “유상증자 등으로 재무관리 힘써달라”
- 살림 빡빡한 서민, 최고금리 인하하자 대부업 더 찾았다
- 보험사, 올해 1분기 RBC 209.4%…전분기 대비 36.8%↓
- ‘이자장사’ 비판에 은행들 몸 낮췄다…금리 내리고 한도 올리고
- 신임 금감원장, 이복현 전 부장검사 내정
- 신한은행 “디지털 상담, 이상무”…특화상담 고객센터 출범
- 은행주 하락하자 DGB금융 지분 더 사들인 OK저축은행
- 농협은행, 혼합금리 방식 추가한 비대면 주택담보대출 선봬
- JB금융, 신용리스크 내부등급법 승인…자본비율 상승 기대
- 부동자세 취했던 증권사 예탁금 이용료도 상승 기류
- 일반 소비자에 사모펀드 등 권유 금지…시행령 개정한다
- 국내 금융사에 쓴소리한 이복현 금감원장…외국계는 당근 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