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윰감독원장이 보험회사 CEO들을 만나 자본력 확보를 강조했다. RBC제도가 개선됐지만 금리 인상 기조가 유지될 경우 자본적정성 등급이 하락할 수 있다는 우려다.
30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보험사 CEO간 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에서는 글로벌 금리 인상 및 긴축이 빨라지면서 보험사의 자본적정성 관리에 대한 논의가 오갔다.
이 원장은 “가파른 시장금리 상승 등이 보험회사의 자본적정성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최근 경제‧금융 상황을 고려할 때, 그 어느 때 보다도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위기 시 재무적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보험회사의 자본력 확보가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 원장은 참석한 보험사 CEO들에게 전사적 자본관리 강화와 자본확충 시 유상증자 등을 통한 기본자본 확충을 우선 고려해달라고 요청했다.
아울러 글로벌 경기 침체가 대두된 만큼 PF대출 및 해외 대체투자에 대해 여신감리와 자산건전성 분류 적정성에 대한 자체점검 강화를 당부했다.
또한 금융감독원이 금리 시나리오별 스트레스 테스트 실시 등 자본적정성에 대한 상시 점검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원장은 내년 IFRS17 및 K-ICS 도입을 앞두고 새로운 제도가 원활하게 정착할 수 있도록 보험사 차원의 준비도 부탁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금융감동원인 ‘신 제도 정착 실무협의체’등을 통해 새로운 제도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원장은 최근 보험업계의 새로운 화두인 헬스케어 영역에도 지원을 약속했다.
보험산업이 국민의 건강한 삶을 살핀다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온전히 자리잡도록 업계의견을 적극 수렴해 헬스케어‧요양서비스 확대를 위한 금융위와 규제 개선사항을 협의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보험사가 국민의 공감대를 토대로 다양한 사회 공익적 영역에서 그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부수업무 신고‧수리도 폭넓고 유연하게 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 원장은 최근 보험권에도 도입된 금리인하요구권이 보다 활성화‧내실화될 수 있도록 소비자 안내를 강화해 달라고 요청했다.
금융감독원 역시 금리인하요구권 수용현황을 공시하는 등 동 제도가 활성화되도록 적극 지원한다는 입장이다.
이 원장은 보험사에게 세부 리스크 요소에 대한 철저한 대응을 재차 당부하는 한편 금융감독원도 보험업계와 긴밀히 소통하면서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 보험사, 올해 1분기 RBC 209.4%…전분기 대비 36.8%↓
- 한은 “시장금리 오르면 보험사 충격 클 것…RBC 직격탄”
- 금융위, 보험사 RBC 규제 완화 나선다
- 신임 금감원장, 이복현 전 부장검사 내정
- 금감원, 내달 가짜환자 근절 위한 합동점검 나선다
- 은행권 자체 인증서 ‘본인확인 인증기관’ 됐다…방통위, 4개사 지정
- [Dauily Pick 금융] 삼성카드, KB국민카드, 현대카드, 롯데카드, 교보생명, ABL생명 外
- 이복현 금감원장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금융사 관리 나서야”
- 국내 금융사에 쓴소리한 이복현 금감원장…외국계는 당근 줬다
- 보험사 2분기 RBC 전분기比 9.4%↑…한화손보·캐롯 ‘권고치 미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