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금융지주의 1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돌며 호실적을 기록했다.
22일 우리금융지주는 1분기 실적발표를 통해 당기순이익으로 8842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분기 기준 최대실적으로 자회사 편입 효과는 물론 수익구조 개선 및 비용관리 노력 덕분이다.
우선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으로 구성된 순영업이익은 2조3712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동기 대비 19.3% 증가했다.
이자이익은 기업대출 중심의 자산 성장과 핵심 저비용성 예금 증대 등 수익구조 개선 노력으로 1조9877억원을 달성성했다.
또한 비이자이익은 그룹 전 자회사의 영업력 강화에 따른 핵심 수수료이익 증가와 우리은행의외환·파생 분야 이익 호조로 전년동기 대비 4.4% 증가한 3835억원을 시현하며 순영업수익 증대를 이끌었다.
특히 비은행 부문의 순이익 기여도가 이번 분기 20% 수준으로 확대된 게 눈에 띈다. 증권사와 보험사 없이도 꾸준히 진행된 사업포트폴리오 다변화 성과가 본격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산건전성 부문은 오미크론 확산세에 따른 경기둔화 우려에도 고정이하여신(NPL) 비율 0.28%, 연체율 0.21%의 안정적 수준으로 관리됐다.
우량자산비율과 NPL커버리지비율은 각각 90.0%, 205.1%를 기록하며 미래 경기 불확실성에 충분한 대응 여력을 확보했다.
그룹의 판매관리비용률은 이번 분기에도 두드러진 개선세가 이어지며, 전년 동기 46.2% 대비 5.0% 포인트 개선된 41.2%를 기록했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이번 1분기 실적을 통해 수익의 외형적 성장 뿐만 아니라 이익 창출력 다변화 및 탁월한 비용 관리 역량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금융은 견조한 펀더멘털을 바탕으로 역동적 혁신 성장을 위한 스타트업, 경쟁력 있는 중소기업 등과 동반 성장을 모색하고 지속성장 기반 강화를 위해 디지털 플랫폼 경쟁력 제고와 고객 경험 혁신 등을 통한 ‘디지털 부문 초혁신’을 신속하게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요 자회사별 연결 당기순이익은 우리은행 7615억원, 우리카드 855억원, 우리금융캐피탈 491억원, 우리종합금융 200억원을 시현했다.
한편 우리금융 손태승 회장은 이번 호실적을 갖고 해외투자자 유치에 나선다. 5월 싱가포르, 6월 미국 등 해외 IR을 재개한다.
- [Daily Pick 금융] 신한카드, KB국민카드, 현대카드, 우리카드, 롯데손보, DB손보 外
- 카드사, 빅테크 점령한 후불결제 시장에 도전장
- 삼성증권, KB국민카드 앱 접속사고…금감원 조사 나선다
- “나(I)와 너(You)는 우리”…우리금융 모델, 아이유가 맡는다
- 코스피, 미국 금리인상 가능성에 뒷걸음질…2704포인트 마감
- KB금융, 격전 속에 리딩뱅크 사수…1분기 1조4531억원 시현
- 하나금융, 1분기 당기순이익 9022억원 달성
- 농협금융지주, 당기순익 5963억원…금융시장 불확실성에 뒷걸음
- 불붙은 금융지주 주주환원 정책…가계대출 감소는 공통과제
- 성장 주춤하는 카드사…2분기 수익 정체구간 진입
- 우리카드, 리그오브레전드 MSI 결승전 고객 초청 이벤트
- 우리카드, 코로나 블루·산불피해 극복 위한 ‘NU 그린콘서트’ 개최
- 예보, 우리금융 보유지분 2.33% 매각…누적 회수율 100% 초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