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생명이 기존 보험비즈니스 기반 지속 성장 가능한 신사업 발굴 및 실행을 위해 조직개편을 단행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조직개편은 기존 보험업 중심 사업구조를 넘어 중장기적 시각을 통해 금융의 비전 및 새로운 전략수립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출발했다.
이에 기존 사업 중심 성장 전략이나 타 기업과 유사한 전략이 아닌 보험업계를 넘어선 핵심 신사업 영역을 조기 지원에 나서게 됐다.
금융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실행력을 확보하고 미래 성장동력 사업화 속도를 올려 회사의 미래가치와 기업가치 극대화를 추진하겠다는 포부다.
한화생명은 이번 조직개편에 따라 ‘보험, 신사업, 전략’의 ‘3부문’ 체제로 변경된다.
3부문은 각각의 인사, 기획 등 자율성을 가진 조직으로 부문별 주도적 협업과 가치 극대화를 추구하고 시장변화에 신속히 대응할 예정이다.
보험부문은 지난 4월 한화생명금융서비스 물적분할로 인한 제판분리에 따라 역할 변화가 필요했다.
이에 상품 제조/개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상품 연구, 유지, 지원을 일원화한 ‘상품전략실’을 신설했다.
신사업부문은 디지털 금융사의 위상강화를 위한 다양한 디지털기반 신사업의 발굴/기획/사업화를 담당하고 1월 도입된 노드를 통해 단위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전략부문은 회사 가치 증대를 위한 미래 사업 전략 수립 및 경영 전반의 프로세스 개선에 집중한다.
디지털기반 신사업 영역은 오픈 이노베이션(OI), 드림플러스(DP) 등을 활용한 CIC(Company in Company) 조직을 적극 지원해 사업화를 진행한다.
또한 부문별 책임경영 및 부문간 상호협력강화를 통해 사업 실행력을 제고할 계획이다.
아울러 대표이사 직할로 미래경영위원회를 신설했다. 미래경영위원회의 역할은 실질적 컴퍼니빌딩(company building) 실행 조직이다.
미래경영위원회는 보험, 신사업, 전략 부문 상호협업 하에 OI, DP등을 활용한 외부 파트너십 연계로 조기 사업화를 위한 패스트트랙을 지원한다.
이밖에도 경영전략실을 신설해 전사 비전수립, 사업포트폴리오 개선, M&A 발굴 등 지속성장을 위한 중장기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할 예정이다.
올해 1월 최고디지털전략책임자(CDSO)와 전략부문장을 겸임했던 한화그룹 3세 김동원 부사장는 이번 개편으로 전략부문장 자리에서 물러나 CDSO만 맡게 된다.
한화생명은 “각 부문 별로 자율성을 부여해 금융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실행력을 확보하고 제판분리 이후 미래성장 동력 사업화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한화, 5개 계열사 대표이사 내정 인사 발표
- 한화생명, 새로운 업무 방식 ‘Remote Workplace’ 도입
- 한화생명금융서비스, 리노보험대리점과 MOU 체결
- 가상인간·구독보험…보험업계가 달라진다
- 한화생명, 상반기 순이익 2508억원… 코로나19에도 호실적
- 현대차증권, VIP 서비스 통했다…고액자산가 1년 반만에 2배 증가
- 코스피 3200선 회복… 외인 매수에 상승 이어져
- 한화종합화학, '한화임팩트'로 사명 변경… 미래기술 선제 투자
- 한화시스템, '밀리테크 스타트업' 발굴… 상생 나선다
- 은퇴 시니어들의 인생 2막 설계, 한화생명이 나선다
- 사내 행사 넘어 고객 서비스도 가상공간에서…보험사도 메타버스 탑승
- 한화생명 라이프어드바이저 ‘Second Life’ 캠페인 실시
- '3세 경영' 시동 거는 보험사들…경영 승계 시험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