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의 일방적 수수료 인하에 국내 카드사 7곳 노동조합이 모인 ‘카드사노동조합협의회’가 출범했다.
25일 카드사노동조합협의회는 서울 중구 전국은행연합회 국제회의실에서 공식 출범식을 개최했다. 카드사노조협의회에는 신한카드, 우리카드, KB국민카드, 현대카드, 롯데카드, BC카드 하나외한카드 등 7개사 노조가 함께했다.
카드사노조협의회 정종우 의장은 “그동안 정부와 정치권은 선거 때마다 선심성 공약으로 카드수수료 인하를 남발해왔고 그 결과 현재 카드수수료는 1%대까지 떨어졌다”며 “그 부담은 온전히 카드노동자가 짊어진 게 현실”이라며 카드산업 내 일자리 축소로 인한 고통을 토로했다.
이어 “디지털금융 혁신이란 명목으로 빅테크·핀테크 기업에만 기회를 주고 예외를 인정하는 편향적 규제완화 정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달라”며 “빅테크 사업자는 이미 지불결제시장에서 ‘슈퍼 갑’이며 영세상공인들에게 높은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2007년부터 13차례 카드수수료를 인하했다. 현재 카드수수료는 0.8%~2.3% 수준이다. 실제로 대부분의 수익이 카드수수료인 BC카드는 1년 만에 수익이 40% 줄었고 창립 이후 매년 신입 공채를 진행한 하나카드는지난해 처음으로 공채를 취소했다.
간편결제로 떠오르고 있는 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는 각각 1.02%~2.39%, 2.2%~3.08%의 결제 수수료를 받고 있다. 카드사에 제공하는 수수료 0.8%~1.6%를 제하더라도 높은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는 셈이다.
이날 출범식에 참석한 이재진 사무금융노조 위원장은 “혁신이란 이름으로 빅테크 업체에 제재가 없는 상황인데 금융사에 그런 혁신의 기회를 준 적은 있는지 묻고 싶다”며 “카드사 적격비용 산정이 다가왔는데 이젠 뒤로 물러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 카드·캐피탈사, 기존 고객 대상 자발적 금리 인하…1000억원 혜택
- 카드 수수료보다 무서운 ‘온라인 플랫폼 중개수수료’ 논란
- 카드사 연합 ‘간편결제’ 구축…삼성·네이버페이 넘을 수 있을까
- 이용호 의원, '영세 소상공인 카드수수료율 우대법' 대표발의
- 금융위원회 추진 현안 TF 회의록 0건…투명행정 부족
- 날개 달린 코스피… 사상 최초 3300선 돌파
- 신한카드-더클래스 효성, 중고차 금융 파트너 위한 전략적 제휴 체결
- 현대카드-SK브로드밴드,IPTV 전용 카드 출시…요금할인·포인트 적립 한번에
- BC카드, 러시아 결제 브랜드 ‘미르’ 국내 매입 담당한다
- 올해 상반기 120여개 카드 사라졌다… 카드사 효율화 안간힘
- 롯데카드-SK브로드밴드, B tv 전용 신용카드 선봬
- BC카드-블랙핑크 콜라보레이션 ‘블랙핑크 카드’ 출시
- 롯데카드, 업계 최초로 준법경영시스템 국제표준 인증 획득
- 하반기부터 개인택시사업자에도 카드 우대수수료 적용
- 우리카드, 안전보건경영시스템 획득…“ESG 경영 강화”
- BC카드, 결제 내역 기반 'BC IDEA'로 기업 비즈니스 지원
- 롯데카드, 전국퇴직금융인협회와 금융교육 위한 업무협약 체결
- 하나카드, 레트로 감성 자극…국내 처음 선보인 카드 디자인 재출시
- 현대카드, 네이버 쇼핑 시 최대 10% 적립되는 '네이버 현대카드' 출시
- ‘수수료 인하 여력 없다’는 카드사, 임원 연봉은 상승
- 카드사 노조, 수수료 재산정 앞두고 "빅테크 기업과 차별 멈춰달라"
- 카드사 노조 “득 보는 이 없는 카드수수료 재산정 제도, 폐지하라”
- 카드사노조, 수수료인하 시 '결제망 중단' 총파업 강행한다
- 카드노동자 “적격비용 재산정 폐지 요구… 총파업도 불사”
- 또 인하된 카드수수료…3억 이하 영세가맹점 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