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이 이번에도 카드수수료 추가 인하를 결정했다. 기존 수수료 대비 0.3%~0.1% 가량 낮아질 예정이다.
23일 금융위원회와 더불어민주당은 국회의원회관에서 ‘카드수수료 인하 당정협의’를 개최했다. 협의는 국회 정무위원들과 고승범 금융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비공개로 진행됐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의원에 따르면 당정은 연 매출 3억원 이하 가맹점은 0.8%에서 0.5%, 3~5억원의 경우 1.3%에서 1.1%, 5~10억원의 경우 1.4%에서 1.25%, 10~30억원의 경우 1.6%에서 1.5%로 수수료율을 낮추기로 합의했다.
김 의원은 “이로써 전체 카드가맹점의 약 96%에 카드수수료율 인하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어려워진 자영업자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조치다. 조정을 통해 절감되는 수수료는 약 4700억원 규모로 예상된다.
카드업계는 수수료 재산정을 앞두고 “인하 여력이 없다”고 호소해 왔다. 카드사 노조는 적격비용재산정 제도 폐지 등을 요구하며 결제망 셧다운을 포함한 총파업을 예고하기도 했다.
이에 김 의원은 “가맹점이 부담해야 하는 카드수수료를 합리적으로 산정하기 위해 도입한 적격비용제도의 취지에 공감하지만 제도개편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있다는 걸 잘 알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금융위원회 중심으로 가맹점과 카드업계가 참여하는 TF를 구성해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고승범 금융위원장 “카드사 종합페이먼트 사업자 지원”…득 될까
- 카드노동자 “적격비용 재산정 폐지 요구… 총파업도 불사”
- 카드사노조, 수수료인하 시 '결제망 중단' 총파업 강행한다
- 카드사 노조 “득 보는 이 없는 카드수수료 재산정 제도, 폐지하라”
- 7개 카드사노조협의회 공식 출범… "수수료 추가 인하 반대"
- 우리은행, 中企 동반성장 지원…정보통신산업진흥원과 상생결제 협약
- [Daily Pick 유통] 사조대림, 세븐일레븐, 청정원, 풀무원 外
- 하나은행, 선불금 관리 대행서비스 선봬…B2B 결제 안전판 역할
- 국민은행, 증권거래까지 가능한 ‘KB able Puls 통장’ 인기몰이
- 우리은행, 디지털 경쟁력 강화 위한 조직개편 단행
- 카드사노조, 총파업 유예…“TF 통해 카드산업 살려야”
- 동네 마트서 신한카드 못 쓴다…수수료 통보에 뿔난 자영업자
- 카드사, 수수료 갈등 격화…마트 이어 PG사도 "계약해지 검토"
- 수수료 논란에 등 터지는 카드사, 유류업계와도 갈등
- 카드채 3년물 금리 급상승…카드사 자금조달 비상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