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내 카드수수료 재산정 결과 발표가 예정된 가운데 카드사노동조합이 추가인하 시 총파업까지 불사하겠다고 강수를 뒀다. 최악의 경우 결제 처리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8일 사무금융노조연맹 카드사 노동조합은 기자회견을 열고 가맹점 수수료 인하 반대 및 적격비용 재산정 제도 폐지를 요구했다.
카드 수수료는 지난 2007년부터 약 13차례에 걸쳐 인하됐다. 수수료 인하 결정에 정치권의 입김이 크게 작용하는 만큼 ‘선심성 공약’이라는 비판도 받아왔다.
업계에서는 이번에도 수수료가 인하될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대선이 예정된 데다 코로나19로 소상공인 피해가 큰 탓에 여론을 의식할 수밖에 없는 탓이다.
이에 노조는 “영세중소자영업자 부가가치 세액공제제도를 감안하면 가맹점의 92%는 실질적으로 카드수수료 부담이 0%인 상황”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적격비용재산정은 허울 뿐인 제도로 되려 카드산업과 종사자들이 연쇄적으로 타격을 입었다”며 “카드모집인이 크게 줄어드는 등 고용에 직격탄이 됐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결제대행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빅테크 업체는 수수료 결정이 자율적인 점도 지적했다.
현재 카드사는 연매출 3억원 이하 소상공인에 결제수수료를 0.8% 부과하고 있으나 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 등 간편결제 기업은 최대 2.2%의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다.
카드사에 제공하는 수수료를 제하더라도 높은 수준으로 카드사노조는 그동안 꾸준히 빅테크에 동일한 규제를 적용해 달라고 요구해왔다.
노조는 최악의 경우 결제망 중단을 포함한 총파업을 감행할 예정이다.
노조는 “전산 셧다운 시 결제가 실시간으로 이뤄지지 않아 가맹점과 소비자가 모두 피해를 볼 수 있을 것”이라며 “금융당국과 정치권이 유의미한 답을 주지 않는다면 강고한 투쟁으로 화답하겠다”고 밝혔다.
- 카드사 노조 “득 보는 이 없는 카드수수료 재산정 제도, 폐지하라”
- 카드사 노조, 수수료 재산정 앞두고 "빅테크 기업과 차별 멈춰달라"
- 빅테크 결제수수료, 신용카드 2배 수준… "관리 감독 강화해야"
- ‘수수료 인하 여력 없다’는 카드사, 임원 연봉은 상승
- 7개 카드사노조협의회 공식 출범… "수수료 추가 인하 반대"
- 국민은행, 캄보디아 상품라인업 강화…한국형 디지털금융 선봬
- CJ제일제당, 네덜란드 바이오기업 인수… 위탁개발생산 진출
- 은행권 “사전예약으로 고객 잡아라”…마이데이터 선점 경쟁 후끈
- 한진·동영해운·한국해양진흥공사, 인천글로벌물류센터 자금조달 지원 업무협약
- 고승범 금융위원장 “카드사 종합페이먼트 사업자 지원”…득 될까
- 플레이트에서 '지루함' 걷어내는 카드사
- 또 인하된 카드수수료…3억 이하 영세가맹점 0.8%→0.5%
- 카드사노조, 총파업 유예…“TF 통해 카드산업 살려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