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 해킹 사고 이후 한차례 요동쳤던 이동통신 시장이 위약금 면제 기한인 14일을 앞두고 다시 과열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번 달 삼성전자 폴더블폰 신제품 사전예약과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 폐지까지 맞물리며, 통신 3사의 점유율 경쟁이 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13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이 해킹 사실을 신고한 4월22일부터 7월12일까지 SK텔레콤에서 다른 통신사로 이동한 가입자는 79만3187명에 달했다. 이 가운데 41만8817명은 KT로, 37만4370명은 LG유플러스로 옮겨갔다.
같은 기간 KT와 LG유플러스에서 SK텔레콤으로 유입된 가입자를 감안해도 SK텔레콤 순감 가입자는 총 57만6037명이다.
하루 3만명 이상 빠졌던 4월 말과 달리, 지난달부터는 하루 순감 규모가 1만명 수준으로 줄었고 일부 날은 신규 가입자가 더 많은 날도 있었다. 이는 유심 교체 작업이 마무리되며 상황이 안정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위약금 면제를 공식화한 이후 다시 이탈세가 커졌다. 7월5일부터 12일까지 8일간 SK텔레콤을 떠난 고객은 12만4414명이며, 13일 하루 동안 1만5288명이 순감됐다.
SK텔레콤은 가입자 유지를 위해 8월부터 자사 망을 이용하는 알뜰폰 고객을 포함해 약 2400만명에게 요금 50% 할인과 매월 데이터 50GB 제공 혜택을 연말까지 적용할 계획이다.
그럼에도 업계에서는 이미 5월 중 SK텔레콤의 시장 점유율이 40%를 밑돌았을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KT와 LG유플러스는 대규모 요금 인하 없이도 이탈 가입자 흡수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위약금 면제 종료일인 14일까지 가입자 유치 경쟁이 절정에 이른 상태다.
사태 이전 40만원대였던 판매장려금은 사고 이후 KT와 LG유플러스가 금액을 높이며 사실상 보조금 경쟁으로 번졌다. 일부 판매점에선 단통법 시행 이전처럼 고객 대기 행렬이 생기기도 했다.
6월 중순 기준 갤럭시 S25 모델은 통신 3사 모두 100만원이 넘는 보조금을 지급했으며, 최근에도 SK텔레콤은 100만원대, KT·LG유플러스는 70만~80만원대를 유지 중이다.
이통사 간 갈등도 커지고 있다. SK텔레콤은 지난 7일 불법 보조금과 공포 마케팅을 이유로 KT를 방송통신위원회에 신고했으며, 5월에는 LG유플러스 대리점이 SK텔레콤 해킹 관련 집단소송을 대행하며 논란이 일었다.
시장 변수는 더 확대될 전망이다. 15일부터 삼성전자 갤럭시 Z 폴드7·플립7 사전예약이 시작되고, 22일 단통법 폐지로 보조금 경쟁은 더욱 격화될 가능성이 크다.
방통위는 허위·과장 광고 등 과도한 마케팅에 대한 실태점검을 실시 중이며, 지난 11일 이동통신 3사 임원과 간담회를 열고 이용자 피해 방지에 주의를 당부했다.
방통위 관계자는 "해킹 사건 이후 그 어느 때보다 직원들이 현장을 집중 모니터링하고 있다"라며 "위법 상황이 발생하고 사안이 중대하면 즉각 조처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 통신사, 과열된 마케팅 전쟁
- 위약금 면제에 SKT 이탈 가속…고객 유지 대책 '부실' 비판
- SKT·KT, LGU+, 번호이동 담합 과징금 963억원 확정
- 정부, '통신망 해킹' 전방위 조사 착수… KT·LG는 안전할까
- 삼성전자, 갤럭시 Z 폴드7·Z 플립7 15일 자정부터 사전 판매 개시
- LG유플러스, 기록적 폭염에 현장직원 지원 강화
- 갤럭시 Z 폴드7·플립7 사전 예약 개시…통신3사, 혜택 경쟁 본격화
- KT, 정보보호에 5년간 1조원 투자…"선제적 보안 새 기준 만들 것"
- LG유플러스, AI 기반 스팸 차단 고도화…5개월 만에 차단 건수 1.4배 증가
- LG유플러스, AI 통합 구독 '유독픽 AI' 출시…챗봇·디자인·학습까지 한 번에
- 통신 3사, 광복 80주년 맞아 'V컬러링' 2차 기부 캠페인 전개
- 단통법 11년 만에 폐지...통신사 보조금 경쟁 신호탄
- 단통법 폐지…보조금 자율화로 휴대폰 시장 격변 예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