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그룹 회장). 사진=연합뉴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그룹 회장). 사진=연합뉴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그룹 회장)은 서울 중구 대한상의 회관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돈을 집어넣어도 해결할 수 없는 사회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어 기존의 성공 방정식을 좀 바꿔야 한다"고 8일 밝혔다.

최 회장은 이날 서울 중구 대한상의 회관에서 열린 '지속가능한 우리 사회를 위한 새로운 모색'을 주제로 한 토론회에서 "지금의 자본주의 시스템이 사회를 잘 작동시킬지에 대해 의구심이 있다"며, 단순한 재정 투입만으로는 저출생 등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저출생을 포함한 최근 일어나는 사회 문제들이 상당히 복잡해지고 발생 속도도 빨라지면서 돈만으로 이를 해결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는 게 최 회장의 지적이다.

이날 발언에서 그는 사회적 가치와 외부 효과를 경제 시스템 내부로 끌어들이고, 기업 등 경제 주체들이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경우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업들에 돈만 벌면 된다는 형태로 자본주의 시스템이 디자인되다 보니 다른 사회 가치를 만들 수 있는 효과나 이야기는 등한시됐다"며 "사회적 가치를 경제 시스템에 내재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사회 문제를 좋은 마음만 가지고 해결하라는 것은 그 문제의 해결 속도를 만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문제를 풀 수 있는 사람에게 경제적인 인센티브 형태를 줘 문제를 해결할 필요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 SK그룹은 지난 2015년부터 사회성과인센티브(SPC) 사업을 비영리재단 사회적가치연구원을 통해 운영 중이다. 이 사업은 사회적기업이 창출한 사회적 가치를 금전으로 환산해 측정하고, 이에 따라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구조다.

지금까지 약 500여 개의 사회적기업이 SPC 사업에 참여했고, 이들이 창출한 사회적 성과는 약 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SK가 보상금으로 지급한 총액은 약 700억원에 달한다.

한편 이번 토론회는 대한상의 신기업가정신협의회(ERT)와 한국사회과학협의회가 공동 주최했으며, 경제·사회·행정·정치 등 다양한 분야의 주요 학회와 대한변호사협회,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등이 참여했다.

ERT는 지난 2022년 대한상의 주도로 발족된 기업 협의체로, 기술과 문화를 바탕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신기업가정신’을 핵심 비전으로 삼고 있다. 현재 1850여개 기업이 활동 중이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