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발 관세전쟁과 국내 정치 불안정으로 경기 전반이 위축된 상황에서도 일부 재계 총수 일가는 비상장 계열사를 통해 거액 배당을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순이익을 크게 웃도는 '폭탄 배당'은 물론, 적자 기업에서도 배당이 이뤄졌다.
1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GS그룹 비상장사 삼양인터내셔날은 최근 1년여간 총 100억원을 배당했다. 이는 당기순이익 약 91억9000만원보다 많은 금액으로, 배당금 가운데 약 81억9000만원은 허준홍 삼양통상 사장을 포함한 GS그룹 오너 4세 3명에게 지급된 것으로 알려졌다.
GS그룹 오너 일가는 이 외에도 비상장사 삼정건업(52억원), 승산(80억원) 등에서도 배당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카카오그룹 비상장사 케이큐브홀딩스는 지난해 약 33억5000만원의 순손실을 기록했음에도 150억원의 배당을 실시했다.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가 지분 100%를 보유한 케이큐브홀딩스는 마이너스 배당성향(-447.10%)을 기록하며 적자폭의 4.5배에 이르는 배당을 단행했다. 전년도에는 이보다 많은 600억원을 배당한 바 있다.
다만 카카오 측은 김 창업자가 2021년 재산 절반 기부를 선언한 만큼 배당금이 기부 재원 마련 목적이라고 밝힌 바 있다.
부영그룹 비상장사 광영토건은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과 장남 이성훈 부영 부사장에게 각각 약 162억7000만원과 31억6000만원을 지급해 총 194억4000만원 상당의 배당을 실시했다. 이는 회사의 당기순이익 약 147억원보다 약 50억원가량 많은 수준이다.
하림그룹 비상장 계열사 올품은 당기순이익 약 39억7000만원을 기록했으나, 100% 지분을 보유한 김준영씨(하림그룹 회장 장남)에게 약 42억4500만원을 배당했다.
효성그룹 비상장사 효성투자개발도 당기순이익 약 270억원보다 많은 400억원을 배당했으며, 이 중 약 164억원이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에게 지급된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백화점그룹 산하 비상장사 한무쇼핑은 정몽근 현대백화점그룹 명예회장에게 약 19억원을 배당했다. 다만 전체 배당금 대부분은 현대백화점(약 85억원), 현대쇼핑(약 15억6000만원), 한국무역협회(약 61억원) 등에 돌아간 것으로 보고됐다.
현대자동차그룹의 비상장 계열사 현대머티리얼은 정일선 현대비앤지스틸 대표이사에게 3억원을 배당했다. 현대머티리얼의 당기순이익은 약 253억원이며, 배당성향은 1.19%로 나타났다.
한편 전자공시시스템에서 감사보고서를 확인할 수 있었던 비상장사는 전체 재계서열 상위 기업집단 중 일부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총수 일가가 실제로 수령한 배당금은 알려진 수준보다 훨씬 많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