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에서 바라본 강남 일대 아파트. 사진=연합뉴스
남산에서 바라본 강남 일대 아파트. 사진=연합뉴스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달에도 이어지고 있다. 내달 시행하는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앞두고 막차 수요가 급증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 5곳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12일 기준 750조792억원으로 전월말(748조812억원) 대비 1조9980억원 늘어났다.

휴일을 제외한 영업일 기준 일평균 2854억원 증가했다. 이달 들어 약 열흘 만에 지난달 증가폭(4조9964억원)의 절반에 가깝게 불어난 것이다. 현 추세라면 6월 가계대출 증가폭이 5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주택담보대출이 가계대출 증가를 이끌었다. 주담대 잔액은 595조1415억원으로 전달대비 1조4799억원 늘었다. 같은 기간 신용대출은 6002억원 증가했다. 지난달 신용대출 증가폭(8214억원)의 73% 수준이다.

금융권에서는 3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의 영향을 주요한 원인으로 꼽고 있다. 3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 이후 대출 한도가 줄기 때문이다.금융당국의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3단계 스트레스 DSR 도입 시 수도권 주담대 한도는 기존 대비 1000~3000만원 가량 감소한다.

주택가격 상승세도 영향을 미쳤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26% 상승하며 전주 상승률(0.19%)을 0.07%p 웃돌았다. 이는 지난해 8월 마지막주 이후 약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것이다.

이에 금융당국은 오는 16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본원에서 최근 가계대출이 급증한 은행들을 대상으로 이달 현장점검도 하고, 별도의 세부 관리 계획도 제출받을 계획이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