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월 한 달간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5조3000억원 늘며 증가폭이 급격히 확대됐다.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 재지정 여파와 주식시장 자금수요에 따라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이 동시에 증가한 결과다.
14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올해 4월 중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총 5조3000억원 늘어 전월(7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크게 확대됐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은 4조8000억원 늘며 전달(3조7000억원)보다 증가세가 뚜렷했고 기타대출도 5000억원 증가해 전달의 감소세(-3조원)에서 반등했다.
은행권 가계대출은 4조8000억원 증가해 전월(1조7000억원)보다 두 배 이상 늘었다. 주담대 중에서도 은행 자체 대출은 1조9000억원 증가하며 전달(7000억원) 대비 확대됐고 정책모기지도 1조9000억원으로 증가폭이 소폭 확대됐다. 기타대출은 신용대출 수요가 회복되며 1조원 늘어 전월의 감소세(-9000억원)에서 상승 전환했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도 5000억원 늘며 전월(-9000억원) 대비 증가세로 돌아섰다. 저축은행(4000억원)과 보험사(1000억원)는 모두 감소세에서 증가세로 전환됐고 여신전문금융사(여전사)는 감소폭이 9000억원에서 1000억원 수준으로 줄었다. 반면 상호금융권은 증가폭이 4000억원에서 2000억원으로 둔화됐다.
금융당국은 “2~3월에 증가한 주택거래 관련 대출이 본격적으로 실행되며 주담대 증가세로 이어졌고 신용대출 확대는 4월 주식시장 변동성 확대에 따른 자금수요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주택 매매거래량은 전국 기준으로 3월 6만7000건으로 꾸준히 상승세를 보였고, 수도권 역시 같은 달 3만6000건을 기록하며 회복 흐름을 나타냈다.
당국은 “4월 가계대출 증가폭이 다소 컸지만 연간 관리목표 범위 내”라며 “금리 인하 기대, 가정의 달 자금 수요, 7월 시행 예정인 3단계 스트레스 DSR 영향 등으로 증가세가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이어 “관계기관과 공조해 지역·시점별 가계대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금융회사의 자율적 대출관리 유도를 포함한 선제적 대응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