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행들이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냈지만, 신입직원 채용 수는 전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줄여 '고용 창출'이라는 사회적 책임을 소홀히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 중 신한·우리·하나은행의 지난해 정기 공개 채용 인원은 전년 대비 줄어들었다.
신한은행은 2023년 137명에서 2024년 102명으로, 같은 기간 우리은행은 500명에서 382명으로, 하나은행은 441명에서 384명으로 줄었다. 이는 은행들이 계획한 신입 행원 채용 인원보다도 적은 규모다. 신한은행은 당초 작년 150명을, 우리은행은 390명을, 하나은행은 400명을 채용하려고 했다.
국민은행은 2023년 254명에서 2024년 260명으로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고, 농협은행은 2023년 480명에서 2024년 1260명으로 대폭 늘렸다. 다만 농협은행은 올해 상반기 채용 인원을 당겨 작년에 미리 대규모 채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인터넷은행은 정기 신입직원을 거의 채용하지 않고, 경력직으로만 직원을 뽑았다. 카카오뱅크는 정기 대규모 공채가 아닌 수시 채용, 채용 전환형 인턴 제도 등으로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신입사원 73명을 채용했다. 토스뱅크는 2023년과 2024년 신입직원 각각 1명을 채용했다.
케이뱅크는 2022년 26명, 2023년 18명을 했으나 2024년엔 8명으로 줄어들었다.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264명, 케이뱅크는 104명, 토스뱅크는 226명의 경력 직원을 채용했다.
한편 지난해 4대 금융의 순이익은 모두 16조4205억원으로 사상 최대였다. 이자 이익 역시 총 41조8760억원으로 전년(40조6212억원)보다 3.1% 늘어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인터넷은행 역시 역대 최대 실적을 냈다.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순이익이 4401억원으로 전년보다 24% 늘었고, 케이뱅크는 작년 순이익이 1281억원으로 전년(128억원)의 10배에 달했다. 토스뱅크는 작년 457억원의 순이익을 내 연간 흑자를 처음 달성했다.
- 신한은행, 대학생과 함께…‘헤이영 서포터즈 2기’ 발대식 개최
- 은행권, 잇단 금융사고에 내부통제 '고삐'
- 금융권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EOD 늘었다…부실 우려↑
- 무료 금융자문 상담 1만4742건…전년 대비 8% 증가
- 케이뱅크, 네이버페이 대출비교 서비스 도입
- 신한은행, 한국수자원공사와 ‘해외사업 상생협력’ 맞손
- 4대 금융지주 1분기 순익 5조원 눈앞
- 신한은행, 전역장교 대상 리더십 특별채용…30여명 선발
- 은행권, 저원가성 예금 확보로 수익성 방어 '안간힘'
- 국민의힘 정무위 의원, 9일 주요 은행장들 만난다
- 농협은행의 새로운 얼굴, 직원 홍보모델·NH튜버 출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