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험연구원은 보험사들이 상품개발 단계부터 수익성과 건전성을 함께 검토해야 한다고 26일 밝혔다.
안철경 보험연구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새 회계기준은 현재 시점의 계리적 가정과 경제적 가정을 반영하므로 과거에는 위험이 낮았던 상품도 현재의 변화된 환경이 반영되면 고위험 상품으로 인식될 수 있다"고 말했다.
안 원장은 보유계약 중 손실 계약에 대해서는 자발적인 구조조정을 촉진하고, 신계약은 건전성 관점에서 보험상품 구조를 혁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 원장은 "새 회계기준 시행을 계기로 손실 계약에 대한 구조조정 요구가 늘고 있다"며 "공동 재보험·계약이전·계약 재매입 등을 활성화하고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도록 구조조정 공동 플랫폼을 운영하는 것도 검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밖에 그는 올해 보험산업에 대해 "안정적인 위험인수 역량 유지와 자본 및 유동성 관리에 대한 위기 상황 대비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 보험연구원 "보험사 판단요율, 기업성보험 시장 발전 저해할 수 있어"
- 보험연구원 "면세자 연금가입 확대 위해 환급형 세액공제 도입해야"
- 보험연구원 "반려동물보험 가입률 1.7%…소비자 접근성 노력 필요"
- "차량수리비 상승, 자동차보험 손해율 늘린다"
- 보험연구원 "내년 초회보험료 9.5% 감소 전망
- 보험연구원 "보험사, 이익 늘었지만 K-ICS 할인율 하락에 자본 줄어"
- [기자수첩] 우울증 100만시대···정신질환 보장 늘리는 손보사들
- 보험연구원, 인구문제 인식개선 릴레이 캠페인 동참
- 보험연구원 "국내 보험산업, 투자활동 유연성 필요"
- 보험연구원 "기후위기 간접손해는 보장 사각지대…지수형 보험 도입 검토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