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보험사들의 이익은 늘어났지만 신지급여력제도(K-ICS) 할인율 하락으로 자본이 감소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9일 보험연구원이 발표한 'K-ICS 할인율과 보험회사 자본관리' 보고서에 따르면 보험회사의 2024년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9조4000억원으로 2022(5조6000억원)·2023년(9조1000억원) 상반기 대비 높은 이익을 시현하고 있다.
다만 보험회사의 자본을 살펴보면 이익잉여금은 꾸준하게 늘었지만 기타포괄손익이 음수가 된 영향으로 기타 포괄손익누계액이 감소해 자본이 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시장금리 하락·할인율 현실화 방안으로 추가적인 K-ICS 할인율 하락이 예상되기 때문에 자본 감소로 인한 지급여력비율 하락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올해 8월 말 기준 국내 국고채 3년물과 10년물에 대한 금리 컨센서스를 살펴보면 오는 2025년 4분기까지 2% 중후반의 금리 하락이 예상된다.
금리변동에 따른 보험회사의 지급여력비율 변화를 살펴보면 금리 100bps 하락 시 '경과조치적용회사' 의 '경과조치 후 지급여력비율'이 생명보험회사는 25%포인트·손해보험회사는 30%포인트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연구원은 보험회사가 금리 하락에 따른 자본관리를 위해 장기채권 매수·만기 30년 국채선물·공동재보험 등 K-ICS 시행으로 확대된 자본관리방안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노건엽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금융당국은 보험회사가 스스로 자본관리를 할 수 있도록 계약재매입 등 부채구조조정방안을 조속히 도입하고 내부모형·자체리스크관리기준(ORSA) 등을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보험연구원 "책무구조도 제도, 회사 규모 따라 차등적 규제방안 논의 필요"
- 보험연구원 "기후변화에 대응해 건강 형평성 개선할 수 있도록 노력 필요"
- 보험연구원 "치매관리 공·사 연계 강화해야한다"
- 당국 손해율·해지율 가정 메스 대나…보험사 불안감 커진다
- 보험연구원 "내년 초회보험료 9.5% 감소 전망
- "차량수리비 상승, 자동차보험 손해율 늘린다"
- 보험연구원 "반려동물보험 가입률 1.7%…소비자 접근성 노력 필요"
- 보험연구원 "면세자 연금가입 확대 위해 환급형 세액공제 도입해야"
- 보험연구원 "보험사 판단요율, 기업성보험 시장 발전 저해할 수 있어"
- '업계 1위' 삼성생명도 지급여력비율 하락…생보사 건전성 비상
- 안철경 보험연구원장 "보험사들, 자본·유동성 관리 등 위기 상황 대비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