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금융그룹의 동양생명 인수가 지급여력(K-ICS)비율을 끌어올릴 것이란 기대 이면에 이번 빅딜이 좌초될 수 있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함께 나온다.
2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우리금융그룹의 현장조사 진행 중 우리은행에서 2300억원 상당의 부당대출 사례를 적발했다. 또 금융감독원이 우리금융지주에 경영실태평가 결과 3등급을 전달해 인수 승인에 제동이 걸릴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는 우리금융그룹의 인수 계획에 제동이 걸릴 수 있는 악재로 평가받는다. 만약 이번 경영실태평가에서 최종적으로 등급이 기존 2단계에서 3단계로 떨어질 경우 동양·ABL생명 인수사로서 승인을 받기 어려워진다.
이번 인수를 두고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입장도 다소 갈린다. 금융위원회는 우리금융그룹과 중국 다자보험그룹 사이의 거래가 무산될 시 중국과의 관계를 의식해야 하고 금융감독원은 감독 기관으로서 우리금융그룹의 실태 파악과 등급 심사에 공정성을 갖춰야 하기 때문이다.
동양생명은 현재 다자보험이 지분 42.01%로 최대주주이며, 다자보험 계열사인 안방그룹이 지분 33.33%로 2대 주주다. 다자보험이 중국 정부가 신설한 회사인 것을 고려한다면 동양생명은 중국 정부 소유다.
특히 우리금융그룹이 동양생명과 인수계약을 맺으며 이행보증금으로 1549억원을 제시해, 계약이 엎어질 경우 해당 금액을 동양생명에 부담해야 되고 중국 정부와의 관계에도 잡음이 번질 수 있는 상황이다.
금융감독원은 현재 우리금융그룹을 대상으로 금융실태조사 등급 산정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번 조사 중 등급 산정에 악재인 비리 사례가 적발된 만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직접 입을 열기도 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우리금융그룹에 인수 계획이 좌초될 수 있음을 암시하며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금융위원장은 "평가 및 등급이 좋게 나왔다고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외연 확장을 마음껏 할 수 없고, 나쁘게 나온다고 기계적으로 (외연 확장이) 안 된다고 볼 수도 없다"며 "우리금융 거버넌스가 흔들리지 않는 게 좋다고 생각하고 있고, 임(종룡) 회장 입장에서 본인의 직을 걸고 체질 개선을 하셔야 한다"고 강조했다.

동양생명 역시 이번 거래가 성사되지 않는다면 K-ICS 비율을 견인할 기회를 잃게 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동양생명의 지난해 3분기 K-ICS 비율은 161.0%로 전년 말 대비 32%p 감소했다. 금리 하락으로 가용자본이 줄고 요구자본이 늘어난 것이 K-ICS 비율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당국의 권고치가 150%인 것을 감안하면 이는 권고치를 겨우 넘기는 수준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