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은행 ATM. 사진=연합뉴스
서울 시내 은행 ATM. 사진=연합뉴스

기준금리와 시장금리 하락 효과를 서민들이 체감하기 어렵다는 지적에 결국 은행들이 하나둘 대출 금리 행렬에 동참하고 나섰다.

26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오는 31일부터 주요 가계대출 상품의 가산금리를 최대 0.29%포인트 낮출 예정이다. 상품별로는 아파트 주택담보대출(코픽스 지표금리) 0.20%포인트, 전세자금대출 0.01∼0.29%포인트, 신용대출금리 0.23%포인트다.

대출 금리는 시장금리에 따라 움직이는 '기준 금리'와 은행들이 임의로 덧붙이는 '가산 금리'로 구성된다.

은행권은 지난해 3분기 이후 가계대출 수요 관리를 명분으로 가산 금리를 계속 올려왔다. 그러다 지난 13일 신한은행이 최대 0.3%포인트 가산 금리 인하에 나섰고 타 은행들도 줄줄이 금리 인하 행렬에 동참하고 나섰다.

KB국민은행은 오는 27일 은행채 5년물 금리를 지표로 삼는 가계대출 상품의 금리를 0.04%포인트 낮춘다. 가산금리 인하는 아니지만, 시장금리 하락분을 최대한 빨리 대출금리에 반영하자는 취지로 풀이된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지난 22일 기자간담회에서 "작년에 기준금리를 두 차례 인하했음에도 가산금리 인하 속도나 폭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측면이 있다"며 "은행들이 새해 기준금리가 떨어진 부분을 반영해야 할 시기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앞서 16일 금융 상황 점검 회의에서 "가계·기업이 두 차례 금리 인하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대출 금리 전달 경로와 가산금리 추이를 면밀히 점검하라"고 지시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